웅진그룹(회장 윤석금)의 계열사인 극동건설(대표이사 김정훈)이 지난 25일 만기 도래한 어음 150억 원을 결제하지 못해 1차 부도를 내면서 재계 일각에서는 웅진그룹이 추가 자금 투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부도를 방치하고 있다는 분석까지 나왔다.

26일 복수의 금융권에 따르면 웅진홀딩스가 이달 말 MBK파트너스로부터 웅진코웨이 매각대금을 입금 받으면 다음 달 초쯤 극동건설에 신규자금을 지원하는 쪽으로 양쪽의 논의가 진행됐다.

앞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웅진그룹은 지난달 알짜 계열사인 웅진코웨이를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에 경영권을 포함하여 1조600억 원에 매각했다.

하지만 금융당국과 신한은행 등 채권단이 전날까지 극동건설 자금지원 문제에 대해 웅진 측과 협의를 해왔지만 극동건설이 150억 원의 어음을 결제하지 못해 상황은 돌변했다.

극동건설은 프로젝트 파이낸스(PF) 대출과 단기 차입금 등을 감안하면 당장 3000억 원 이상의 자금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 웅진홀딩스는 신한은행에 4100억 원 규모의 지급보증을 해줬다.

문제는 글로벌 경기불황과 부동산 경기침체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모르는 상황에서 극동건설에 얼마를 더 투입해야할지 알 수 없다는 점이다. 웅진그룹이 법정관리를 선택해도 지급보증을 약속한 4100억 원은 책임져야 한다.

하지만 또다른 피해는 고스란히 협력업체로 돌아간다. 극동건설의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가 진행되면 상거래채권이 동결되고 중소 협력업체들은 연쇄부도까지 우려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전형적인 대기업의 ‘꼬리 자르기’가 될 수 있다”며 “웅진 측의 대응을 면밀히 살피는 중”이라고 밝혔다.

이날 현재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은 웅진홀딩스와 협의를 진행하려고 시도하는 중이지만 연락이 닿지 않고 있다고 한다. 극동건설은 신한은행과 최종 부도 처리에 대해 협의 결과 부도가 확정되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나 법정관리 절차를 밟게 된다.

한편 웅진그룹은 지난달 웅진코웨이를 매각해 확보하는 1조600억 원 중 5690억 원을 차입금으로 바로 갚아야 한다. 웅진코웨이 지분을 담보로 빌린 돈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웅진홀딩스의 단기 차입금도 4800억 원에 달한다. 알짜 자회사인 웅진코웨이를 매각했지만 빚 갚기에 급급하다.

이같은 상황때문인지 송인회 극동건설 회장을 비롯해 지난 5월 영입됐던 강의철 사장까지 최근 잇따라 사임하자 업계에서는 웅진그룹이 극동건설을 포기하는 징후가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었다.

극동건설 관계자는 이날 “웅진그룹이 추가 지원 여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그간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유동성 위기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에 어떤 결정이 나올지 염려스럽다”고 언론을 통해 전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