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철 부회장의 연임을 전후해서 LG유플러스가 논란에 휩싸였다.

이 부회장은 LG유플러스를 이동통신 LTE 시장 2위로 끌어올리는 성과를 내 그룹의 인정을 받았다. 때문에 이 부회장이 12월 초 연임이 확정됐지만,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다.

직원들은 지난달 16일부터 “스마트워크 하자더니 직원통제 웬말이냐”, “유플러스가 수용소냐 자율근무 보장하라” 등이 쓰인 피켓을 들고 시위중이다. 앞서 부회장 집무실 앞에서도 피켓시위를 벌인 바 있다.

이에 사측은 이 부회장 집무실 앞에서의 시위는 업무방해로 대응조치를 강구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춰 갈등은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논란의 시작은 ‘스마트워크(Smart work)’다. 스마트워크란,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해 사무실이 아닌 곳에서도 자유롭게 일할 수 있는 근무형태를 말한다.

그러나 직원들은 스마트워크 정책으로 사무실에 가둬두려 한다며 ‘직원통제’라고 반발하고 있다.

노조는 △스마트워크 관련 공지사항을 수정해 흡연‧카페 이용시간 자율화 △개인별 연차휴가 의무사용일 12개 넘지 않는 수준으로 지속 △팀장 평가항목에서 '연차휴가와 초과근무 관련항목 삭제' 등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사측은 27일 <뉴시안>과의 통화에서 “쉴 때 쉬고 일할 때 일할 때는 업무 집중도를 높이자는 일종의 캠페인”이라며 “책상에만 앉아있으라는 말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런 논란에 따라 몇 차례 노사의 협의가 진행됐지만, 합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본사의 지나친 간섭…압박받는 대리점과 직원들

LG의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실적강조로 인한 부작용이 속속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8월 LG유플러스 IPTV부문 상무였던 이 모씨가 실적압박으로 투신자살한 사건이 알려지면서 이 부회장이 지나친 간섭을 하고 있다는 파문이 일었다.

실제로 지난달 발표된 LG유플러스의 인사특징은 성과주의로 알려졌고, 대리점들도 본사 압박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이 부회장이 성과에 욕심을 내 대리점 압박에 들어간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실제로 LG유플러스는 개통이 취소되는 등 고객의 가입 해지 등에 따라 패널티를 부과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리점들은 이러한 압박이 부담돼 이력이 있는 핸드폰도 소비자에게 고지 없이 판매하고 있다고 말한다. 결국 LG유플러스의 압박이 소비자 피해로 돌아오는 것이다.

이에 LG유플러스 측은 “고객들은 15일 내에 문제가 있으면 해지가 가능하다. 대리점에 대해 압박이나 벌금은 없다”며 “고객이 문제가 있어 해지 했으면, 그에 따른 인센티브를 받지 못하는 것 뿐이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영업총괄인 김철수 부사장(MS본부장)은 사내 일부 직원의 재고 단말기 조작 등의 비리를 책임지고 스스로 사임했다.

한편,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동통신3사에 보조금 과다지급으로 과징금 부과와 영업정지 처분을 내렸다. 이에 따라 LG유플러스는 21억 50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24일간 영업정지를 해야한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