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안>이 단독 보도했던 ‘SK텔레콤(이하 SKT)의 판매점 협박’의 실질적 증거가 될 수 있는 ‘SKT 비밀 아르바이트’가 26일 SBS 보도 이후 화제다. 감시와 압박을 받은 판매점들도 문제지만, 소비자들의 선택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반응이 이어진다.

SBS에 따르면, SKT는 아르바이트생들을 이용해 ‘판매점 불법 녹취’를 일삼고, 자사 제품을 사도록 유도하고 있는지 감시했다. 직영 대리점이 아닌 통신 3사 제품을 모두 팔 수 있는 판매점에 대해 감시하고, 불이익을 준 것이다.

SKT 비밀 아르바이트를 한 사람들에 따르면, 이들은 시장조사 자료와 같은 문서의 한켠에 녹취 여부라는 항목을 만들고 판매점을 돌며 그들의 말을 녹취했다. 타사 제품을 권유하는 판매점은 따로 체크를 해놓기도 했다.

이렇게 녹취 등의 감시와 압박을 받은 판매점은 충북 지역에서만 1000여 개에 달한다. 이에 ‘보조금 전쟁으로 인한 영업정지가 끝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가입자 유치를 위한 도 넘은 행위가 실정법 위반으로까지 번졌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이에 통신사를 관리하는 방송통신위원회에 대해서도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통신사에 ‘보조금 27만 원을 넘기는 등의 고객 유치 행위를 하지 말라’고만 할 뿐, 개선책을 제시하지 못해 국민들의 통신요금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 가운데, 충북의 판매점들은 ‘영업정지기간에도 판매 대수를 적용해 압박하더니, 불법 모니터링 사실도 결국 밝혀졌다’는 반응이다.

판매점들에 따르면 SKT는 그동안 판매점에 판매 대수를 정해놓고, 판매하지 못했을 경우 대당 보조금을 차감하는 등의 압박을 가해왔다.

이와 관련 박진호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간사는 “판매점들을 압박해 특정 통신사 가입만을 소비자들에게 권유하게끔 강요하는 것은 소비자의 선택권을 침해하는 불공정한 행위”라고 말했다.

반면 SKT 측은 27일 <뉴시안>과의 통화에서 “우리가 제공하고 있는 부분(수수료 등)에 대해 잘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 것”이라며 “다른 통신사에서도 (녹취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판매 대수 당 보조금 차감에 대해서는 “사실이 아니다”고 일축했다.

한편, KT와 LG유플러스도 ‘보조금 환수’, ‘보조금 3배 부풀리기’ 등의 행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통신업계의 대란은 영업정지가 끝난 이후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