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자 관련 업체들이 이를 마케팅 도구로 사용해 ‘논란’이 되고있다.

검찰은 지난 8일 대형카드3사(KB,롯데,NH)에서 총 1억400만 건의 개인정보 유출이 발생했다고 중간수사결과를 발표했다. 유출된 정보에는 개인 신상은 물론 대출정보나 카드승인내역 등 민감한 사안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스탠다드차타드은행과 씨티은행에서도 13만여 건의 정보가 유출됐고 제2금융권에서도 정보유출이 확인됐다.

문제는 카드사와 신용보호업체들이 돈벌이에 눈이 멀어 정보유출 비난에도 이를 신용정보보호 서비스의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상품 불완전판매 가능성 높아…업체는 ‘잘못 없다’

신용정보보호 서비스는 고객의 신용정보 변동 내역을 알려주거나 명의도용, 금융 사기 등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유료 부가서비스다.

금융감독원은 대내외적으로 좋지 않은 상황이고 불완전판매의 가능성이 높아 각 회사에 관련 상품 판매 자제를 요청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번 사례를 들면서 불안감을 조성한 뒤 상품을 판매해 불완전판매가 발생할 수 있다"고 조심스럽게 말했다.

그러나 현대·하나SK카드는 이번 사고와 관계없이 이전부터 판매해 오던 상품이라 굳이 중단할 이유가 없다며 금감원의 요청을 거부하고 있다. 신한·삼성·우리카드는 사고가 터진 직후인 10일부터 판매를 일시적으로 중단했지만 14일부터 슬그머니 판매를 재개했다.

BC카드는 아직 재개하지는 않았지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카드 관계자는 "이번에 사고가 발생한 코리아크레딧뷰로(KCB)가 아닌 나이스신용평가와 협업 중이고 자체적으로 내부검사를 한 결과 정보유출과 관련한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해 판매 중단을 고려치 않았다"고 밝혔다.

삼성카드 관계자 역시 "고객들의 요청이 있고, 사고 발생에 따른 신용정보보호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판매를 재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과거 개인정보 유출사례 벌써 잊었나

하지만 개구리가 올챙이적 생각을 전혀 못한 판단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삼성카드와 하나SK카드는 지난 2011년 내부직원에 의해 개인정보가 각각 80만 건, 5만 건 이상 유출됐다. 두 업체는 사고 직후 "유출된 정보는 개인의 연락처와 주민등록번호 등 신상정보로 직접적인 피해는 없을 것"이라고 대응했다.

현대카드 역시 같은 해 4월 현대캐피탈 서버 해킹으로 175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고를 겪었다.
 
앞서 2010년에는 카드 번호 등 개인신용정보가 유출돼 신한, 현대, 삼성, 롯데 등 4개 카드사의 부정결제가 2200여 건 발생, 총 1억8000만 원의 피해를 입기도 했다.

당시에도 현재와 유사하거나 같은 신용정보보호 상품이 판매됐지만 이번 3사처럼 도의적으로 판매를 중단하거나 마케팅으로 활용한 경우는 없었다.

카드업계 전체에서 이 같은 유료정보를 이용하고 있는 고객은 지난해 2월 말 기준 275만여 명. 이번 사태를 거치며 유료서비스 가입자 수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