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19대 국회 첫 원내대표를 뽑는 당 내 경선 결과에 그 어느 때보다 높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민주당 차기 원내대표는 19대 국회 개원과 관련해 국회 상임위 배정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 할 뿐 아니라 12월 대선을 앞두고 대여(對與) 원내 투쟁의 선봉장이라는 중책까지 떠맡아야 한다. 또 원내대표는 비상대책위원장직도 맡아 6월 전당대회를 관리해야 하는 숙제도 안게 된다. 

당 안팎에서는 이번 원내대표 경선 결과가 6월 전당대회에서의 당권의 향배 및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판도까지 영향을 미칠 것이란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민주당은 내달 4일 19대 국회의원 당선자 127명의 투표로 원내대표를 선출한다.

이번 경선에는 4선의 이낙연 의원(전남 담양·함평·영광·장성)을 비롯해 박지원 최고위원(3선, 전남 목포), 유인태 당선자(3선, 서울 도봉을), 전병헌 의원(3선, 서울 동작갑) 등 4명이 출마했다.

현재 판세는 이해찬 상임고문 등 친노(친노무현) 진영의 지지를 업은 박 최고위원이 우세한 가운데 다른 세 후보가 각기 치열한 추격전을 벌이고 있다는 관측이 대체적이다.

경선 결과의 최대 관전 포인트는 박 최고위원이 1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에 성공해 '이-박 합의'의 첫 단추를 성공적으로 꿸 수 있을지다.

이렇게 된다면 이번 두 인사의 합의에 대한 당 안팎의 비판적 여론에도 불구하고 박지원 원내대표 체제의 출발과 함께 '호남 원내대표-친노(충청) 당 대표'의 역할분담론이 당 내에서 설 자리가 넓어진다.

'이해찬 당 대표' 카드는 물론 '이-박 합의'의 종착점이라는 관측이 무성한 '문재인 대선후보론'도 주목을 받을 공산이 큰 셈이다.

물론 박 최고위원이 당선되더라도 그간의 역풍이 쉽사리 사라지기는 어려울 거란 전망도 있다.

'이-박 합의'와 거리를 둔 다른 진영이 위기감을 공유, 당권과 대선후보 경선 과정에서 공동 대응에 나설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박 최고위원이 1차투표에서 과반 득표로 승부를 보지 못하고 1,2위 간 결선투표 끝에 가까스로 승리한다면 갈등 가능성은 더 높아진다.

만일 박 최고위원이 경선에서 패한다면 당권주자(이해찬)와 대선후보(문재인) 모두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하다.

당권 경쟁에서는 '이-박 합의'를 정면으로 비판해 온 김한길 전 원내대표(4선)의 입지가, 대선후보 구도에서는 손학규 정동영 정세균 상임고문 및 김두관 경남지사의 행보가 상대적으로 힘을 받을 수 있어 보인다.

이 때문에 당 안팎에서는 이번 경선이 단순히 원내대표 한 명을 뽑는 이벤트를 넘어 당권과 대선 판도 변화를 예측해 볼 수 있는 풍향계가 될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한편 실제 투표에서 '이-박 합의'에 대한 당선자 127명의 표심이 어디로 모아질지도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일단 당선자들은 표면적으로는 이번 역할분담론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경향신문에 따르면 당선자 91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해찬-박지원 역할분담은 국민 지지를 멀어지게 하고 대선에 부담을 주는 부적절한 행위'라는 응답이 55명(60.4%), '당내 갈등을 줄이고 단합을 위해 불가피한 행위'라는 답변은 18명(19.8%)였다. 18명은 판단을 유보했다.

한겨레가 114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이-박 합의'를 부정적으로 본다는 응답이 52명으로 긍정적으로 본다는 의견(31명)에 비해 많았다.

그러나 실제 투표에서 이런 의견이 그대로 표로 연결될지는 미지수다.

역할분담론을 부정적으로 본다고 해도 현실적으로는 '박지원 원내대표'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는 탓이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