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안,newsian=신민주 기자)
 

경기 부진에 따른 수익성 악화로 만성적 좀비기업이 5년새 700여곳이 늘어 2500여곳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2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외부감사 대상기업 2만7995곳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만성적 한계기업 비중은 지난해 말 기준 2561곳(10.6%)으로 지난 2009년 1851곳(8.2%) 보다 710곳(2.4%p)이 증가했다.

만성적 한계기업은 이자보상비율이 3년 연속 100%를 넘지 못한 한계기업 중 지난 10년 동안(2005년 이후)에도 한계기업을 경험한 적이 있는 기업을 뜻한다. 만성적 한계기업이 늘었다는 것은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고 대출로 장기간 연명하고 있는 기업이 늘었다는 얘기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만성적 한계기업 비중이 2배 더 빠르게 상승했다. 대기업 중 만성적 한계기업 비중은 2009년 6.6%에서 지난해 10.8%로 4.8%p 증가했다. 중소기업에서는 8.5%에서 10.6%로 2.1%p 올랐다.

업종별로는 비제조업 중 운수업과 건설업을 중심으로 만성적 한계기업이 10.8%에서 13.6%로 2.8%p 증가했다. 제조업에서는 조선, 철강업 등을 중심으로 5.2%에서 7.2%로 2.0%p 늘어났다.

만성적 한계기업이 지속적으로 늘어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성장성과 수익성이 부진하게 나타나고 있는 영향이다. 기업의 매출액 증가율은 지난해 -5.4%를 기록하며 감소로 전환되더니 올 상반기 중에는 -7.1%를 기록하며 하락 폭을 키웠다.

한은은 "국내 경기 부진이 지속되고 기업 경영실적이 개선되지 못하는 상황을 감안할 때 만성적 한계기업의 증가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만성적 한계기업 대부분은 수익을 메우지 못하고 주로 외부차입에 의존하고 있어 부채비율도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만성적 한계기업의 부채비율은 지난해 기준 260.2%로 전년(173.4%)보다 크게 올랐다. 차입금 의존도도 56.3%에 달해 정상기업(24.6%)의 2배 수준을 웃돌았다.

이러한 가운데 기업 구조조정의 속도는 더디게 진행되고 있어 만성적 한계기업의 비중을 더욱 키웠다. 지난 2009~2013년중 워크아웃이나 회생절차를 밟고 있는 기업 중 현재(2014년 말 기준)까지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는 비중은 절반이 넘는 52%에 이르렀다.

만성적 한계기업이 늘수록 경제 전체의 투자와 고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은은 "만성적 한계기업이 늘면 경제 성장이 제약될 가능성이 있다"며 "또 재무상황이 취약하기 때문에 대내외 충격 발생시 대규모 부실로 이어질 수 있고, 금융시스템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효율적인 기업 구조조정 추진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