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공공 데이터 포털

[뉴시안=송범선 기자] 광주시와 충남도의회 등 지역 자치단체가 4차 산업혁명시대 핵심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는 빅데이터 이용에 활발하다. 

현대 사회는 정보의 홍수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데이터 양이 방대하다. 트위터에서만 하루 평균 1억 5500만 건이 생겨난다. 또 유튜브의 하루 평균 동영상 재생건수는 40억 회에 이른다. 이처럼 현재는 과거에 비해 데이터의 양이 폭증했다. 사실상 정보가 너무 많아 무엇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모르는 이가 다수다. 따라서 이 많은 정보들 중 중요한 핵심요인들을 건져 내는 것이 빅데이터 시스템이다.

빅데이터는 생성 주기가 짧고, 형태도 수치 데이터뿐 아니라 문자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규모 데이터다. 데이터의 종류도 다양해졌다.

이같은 상황에서 빅데이터를 잘 활용하게 되면 사람들의 행동은 물론 위치정보와 SNS를 통해 생각과 의견까지 분석 및 예측할 수 있다. 

9일 광주시는 빅데이터 중장기 전략계획을 밝혔다. 이는 이달 중 연구용역을 실시, 5개년(2019~2023년)에 걸쳐 수행하는 내용으로 수립된다. 

주된 내용은 빅데이터 국내외 정책 동향과 선진사례 분석, 광주시 빅데이터 환경분석과 서비스 실태조사, 광주형 빅데이터 기반 구축과 추진 전략 마련,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활용과제와 정책모형 개발, 빅데이터 활성화 방안 등이다.

이처럼 공공 기관에서 빅데이터를 사용하면 시민이 요구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한다는 의미가 있다.

이는 '사회적 비용 감소와 공공 서비스 품질 향상'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례로 싱가포르에서는 차량의 기하급수적인 증가로 인한 교통체증을 줄이기 위해 교통량 예측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 시스템을 통해 85% 이상의 정확도로 교통량을 측정하고 있다.

또 2014년 월드컵과 2016년 올림픽을 치른 리우데자네이루에서는 지능형운영센터(IOC)를 설립해 도시 관리와 긴급 대응 시스템을 갖췄다. 이에 선진 도시 시스템을 보여줬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사진=공공 데이터 포털

2010년 발간한 '디지털 미래 전략' 보고서에서 미국 대통령 과학자문위원회는 '모든 연방정부 기관은 빅데이터 전략이 필요함'을 주장했다.

2012년에 열린 다보스 포럼에서는 자본주의가 위기에 처했다고 언급했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 '사회 기술 모델'을 제시했다. 또 '빅데이터'가 사회현안 해결에 강력한 도구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광주시는 2017년 '스마트 휴먼시티 人(in) 광주'를 선포한 바 있다. 이것은 빅데이터 분석을 행정에 접목한 것이다. 이를 통해 광주시는 시내버스 효율적 운영, 상수도 누수 탐지, 응급환자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119구급차 운영 최적화 등을 실시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여기다 청년들의 부채 해소를 위해 9개 은행의 대출자료를 자체 분석했다. 한편 한국전력공사와 함께 빅데이터 분석사업을 벌이는 과학적 행정수행에 선도적으로 나서왔다.

국내 중 광주시만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아니다. 충남도의회 각 분야별 연구모임에도 모바일 빅데이터와 지역자료 연계를 통한 공공정책 발굴을 위한 연구모임이 있다.

모바일 빅데이터 연구모임은 공공정책 발굴을 위해 다양한 사례를 분석, 빅데이터 분석 노하우 축적 및 데이터 구축 체계를 마련했다. 이 체계는 각 데이터의 정확성 및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방안 마련 가이드를 제시한다. 이는 제도적·조직적 기반 확충 및 인식의 전환 필요성을 언급하는 것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