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기자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결과 기준금리를 1.5%로 유지한다는 통화정책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시안=김도양 기자] 채권시장 전문가들 중 10명 중에 9명 이상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한 가운데 예측대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현 수준으로 동결했다.

다음 달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상이 유력하고 한미 간 기준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압력이 있지만, 우리 경제의 뇌관으로 지목되는 가계부채 문제와 미국의 통상 압박으로 인한 수출 경기 위축을 우려해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분석된다. 

한은은 27일 서울 중구 태평로 한은본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에서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기준금리를 현 수준(1.50%)으로 유지해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한은은 지난해 11월 6년5개월 만에 금리를 025%p 인상한 뒤 두 번째 동결 결정을 내렸다. 

미국이 금리 인상 속도를 가속하며 등을 떠밀고 있지만 가계부채 문제의 뇌관을 건드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컸다. 가계 빚이 1450조를 돌파한 상황에서 금리 인상은 취약 계층을 무너뜨리는 직격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통상 압박으로 수출 경기에 부담이 크다는 점, 국내 경기 회복세가 강하지 않다는 점 등이 금리 인상을 막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번 기준금리 동결은 채권시장에서도 예상된 결과였다. 

앞서 23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2018년 3월 채권시장지표'에 따르면 설문 응답자의 93%(전월 100%)가 기준금리 동결을 점쳤다.

금투협은 "글로벌 통화 정책 정상화 움직임이 부담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가계부채 및 경기 회복 불확실성 등으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미국의 통화 긴축 속도가 빨라지면서 한·미 금리 역전이 임박했다는 점을 들어 향후 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재 미국 금리는 연 1.25%~1.50% 수준으로 미 연준이 다음 달 예상대로 금리를 올릴 경우, 우리나라의 기준금리(연 1.50%)보다 높아지면서 금리 역전 현상이 일어난다. 이는 2007년 8월 이래 처음이다. 

한·미 금리 역전이 문제가 되는 것은 자본 유출로 번질 수 있기 때문이다. 고금리를 찾아 국내 자금이 미국으로 흘러가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최근 미국의 금리 인상은 기존 2~3회로 예측됐으나 고용지표 등의 호조에 따라 3∼4회까지 늘어날 수도 있을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한편, 이번 금통위는 이주열 한은 총재가 주재하는 마지막 통화회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총재는 다음 달 말 4년의 임기를 마친다. 

키워드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