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뉴시안=김지형 기자] 남북정상회담이 오는 4월27일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 집'에서 열릴 예정인 가운데 5월 북미 간 정상회담 장소 최종 결정을 앞두고 북한과 미국 실무자 간 물밑협상이 진행되고 있다.

북미정상회담 장소로 북한과 미국의 안방인 평양과 워싱턴D.C.뿐만 아니라 판문점이 유력하게 외신을 통해 거론되고 있다. 제 3국 후보지로 중국과 스웨덴에 이어 몽골 또한 개최지 제공에 의욕을 보이고 있어 최종 확정을 앞두고 샅바싸움이 본격화되고 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9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미 정상회담 장소 결정을 위해 양국 실무대표단의 비공개 접촉이 진행 중이며, 장소가 합의되면 다시 일정과 의제를 조율할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정부의 소식통에 따르면 미국은 판문점, 평양, 베이징에서 정상회담을 여는 것에 부정적인 반면 북한은 경호상의 이유를 들어 평양 개최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에 대해, 통일부 관계자는 "북미정상회담과 관련해서는 특별히 드릴 말씀은 없다"면서 "남북정상회담 장소의 경우 지난 3월 대북특사단의 방북시 이미 확정됐으며, 최근 고위급 실무자 접촉을 통해 날짜가 최종 확정된 것"이라고 답했다.

7일(현지시간) CNN은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 미국과 북한이 5월 정상회담을 위해 직접 대화를 비밀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북한 실무단 측이 수도 평양에서 정상회담 개최를 강하고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CNN에 따르면, 미국과 북한의 정보당국 관료들은 장소를 확정하기 위해 여러 차례 접촉했다. 북미는 먼저 정상회담 장소를 대해 합의한 뒤 회담 날짜를 결정하고 의제도 더 상세하게 논의할 예정이다.

대북전문가들은 북한이 해외에서의 경호문제뿐만 아니라 김정은 위원장이 평양을 떠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국내 권력공백 상태에서의 정치적 돌발 상황에 부담을 느낄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북한 실무단은 평양에서 북미정상 만남을 적극적으로 밀어붙이고 있지만, 차선으로는 물리적으로 가까운 판문점 등도 선호할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남과 북은 지난달 29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고위급 회담에서 정상회담 날짜를 오는 4월27로 확정한 바 있다.

판문점의 경우 남북분단의 상징성을 대내외 상기시킬 수 있고 통제된 공간이라는 점에서 양측 간 경호문제가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남북평화의 물꼬를 다시 틀 수 있는 판문점은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북미 정상회담마저 연이어 대사를 치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남북정상회담이 비핵화 이슈와 관련, 기대했던 성과를 이끌어내지 못한다면 판문점이란 장소가 정상회담 개최에 앞서 실망감을 부추길 수도 있다. 남북정상회담의 성과가 대대적으로 홍보될 경우, 미국도 그에 상응하는 성과를 내야한다는 부담도 있다. 오히려 1976년 8월 북한이 일으킨 도끼만행사건 등의 현장인 판문점이 정상회담 기간 양국 간 긴장감을 고조시킬 수 있다는 맹점도 배제할 수 없다.

트럼프 정부는 최근 중국 등과 관세부과로 보복적 무역정책을 펼치고 있는 상황이다. 김정은 위원장 앞에서 열강인 중국과 러시아 등을 제치고 마냥 긍정적 제스처를 취하기도 애매하다. 강공작전 후 대화 테이블에서는 긴장을 늦추며 외교적 결실에 치중하는 그간 트럼프의 전략 또한 이번 북미정상회담에서 반복될지 주목된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3월 25일부터 나흘간 시진핑 국가주석 초청으로 중국을 비공식 방문한 바 있기 때문이다.

미국 측과 전격적인 합의가 이뤄진다면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유력한 개최지로 떠오른다. 김정은 위원장은 중국 비공식 방문에서 시진핑 국가주석과 첫 정상회담을 했으며, 부인 리설주와 시 주석의 부인 펑리위안 여사 등과 두 차례 식사를 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부친 김정일 위원장의 유지를 받들겠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통 큰 양보도 기대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이 최근 양국 제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는 등 무역전쟁 양상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트럼프 미 대통령이 북미 간 정상회담과 미중 간 연속적으로 정상회담을 갖는 방안 등을 미국 정부가 염두에 둘 수도 있다.

더 크게 양보해서 평양이 된다면 현직 미국 대통령의 첫 평양 방문이라는 역사를 쓸 수 있다. 북한 비핵화를 적지에서 이끌어 낸 역사적 성과가 더욱 드라마틱하게 부각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강경론자 트럼프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할 배짱이 과연 있는지 귀추가 주목된다. 다만 북미 간 핵협상 등이 별다른 성과 없이 끝날 수 있다는 정치적 부담과 경호문제 등으로 스웨덴과 몽골 등도 양측 간 중립적인 지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미국 입장에선 북한의 비핵화 합의 없이 김정은 위원장을 안방인 워싱턴 D.C로 초대하거나 트럼프 대통령이 평양에 방문하는 것이 부담스러울 수 있다. 워싱턴D.C.나 평양으로 개최지가 확정될 경우 북한과 미국 양측 간 개최지 양보에 따른 상응하는 보답을 제공해야 한다는 외교적 부담이 있기 때문이다.

일본 아사히 신문은 6일 미국 측 소식통을 인용, "제 3국 후보지로 스웨덴과 몽골 양국 정부가 북미정상회담 개최지 제공에 의욕을 보이고 있다"면서 제 3국 개최 방안이 부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몽골의 경우 북한의 전통적 우방국으로 중국과 러시아 사이에 위치한 북한과 지리적으로 멀지 않은 이점이 있다. 몽골은 '울란바토프 안보대화'를 개최하며 북한 핵문제에도 관심을 보여 왔다. 몽골은 최근 적극적인 대외정책을 펼치며 국제사회에서의 위상강화에 힘을 쏟고 있는 모습이다. 박근혜 대통령도 2016년 7월 제 11차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아셈) 행사차 몽골을 공식 방문하기도 했으며, 차이야 엘벡도르지 몽골 대통령은 2013년 10월 외국 정상으로서 처음으로 북한을 방문해 정상회담을 요청했지만 무산된 바 있다.

스웨덴의 경우 1973년 이후 평양에 대사관을 두고 있으며, 그동안 북한에 억류된 미국민의 영사 면회 업무 등을 수행했다. 지난달 마르코트 발스트룀 외교장관과 리용호 북한 외무상의 회담도 스웨덴에서 열린 바 있으며, 북미 정상회담 개최에 대해 발스트룀 외교장관이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