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대통령의 검찰 출석일인 지난달 14일 오전 서울 강남구 논현동 이 전 대통령의 자택 앞에서 경찰이 경비를 서고 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검찰 출석일인 지난달 14일 오전 서울 강남구 논현동 이 전 대통령의 자택 앞에서 경찰이 경비를 서고 있다.

[뉴시안=김지형 기자] 460억원 규모 횡령및뇌물수수, 다스 비자금조성 혐의로 구속기소돼 지난 9일 재판에 넘겨진 이명박(MB) 전 대통령의 차명재산을 포함한 재산총액이 얼마일지를 두고 향후 법정 공방이 예상되고 있다.

검찰이 다스의 소유를 이 전 대통령이라고 못 박았기 때문이다. 다스 실소유주 의혹이 이번 재판에서 규명될지 여부 또한 주목되고 있다.

검찰은 또한 10일 111억원에 이르는 뇌물수수 혐의액과 관련해 논현동 자택과 차명재산으로 드러난 부천공장에 대한 불법자금 강제추징 절차 법원에 신청했다.

법조계 및 시민단체 등 일각에서는 횡령.뇌물수수뿐만 아니라 해외은닉을 포함해 차명재산을 끝까지 추적해 재판과정에서 비자금의 규모를 국민 앞에 철저히 밝혀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뇌물및불법자금수수.조세포탈.직권남용 등 16개 혐의를 받고 있다. 미국 소송 비용 67억여원을 삼성이 대납한 사건도 공소사실에 포함됐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재산 총액은 지금까지 드러난 차명재산, 논현동 자택 등 공개된 재산, 다스의 기업가치 등 크게 세 덩어리로 볼 수 있다.

검찰은 이 전 대통령이 도곡동땅을 포함해 1,000억원이 넘는 재산을 숨겨놓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증권가 일각에서는 다스 실소유주가 이 전 대통령이라고 확증하고, 다스를 상장사로 가정하면 실제 총 그의 재산가치는 수조원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스 상장된다면 한주당 수백만원 호가할수도

다스는 삼성전자 못지않은 황제주로 손색없다는 평가가 시장관계자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시장전문가는 "다스 매출이 연간 1조원쯤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업체의 분식회계 관행을 볼 때 실제 매출은 연간 2조원쯤으로 추산될 수 있다"면서 "다스가 엄청난 매출과 꾸준한 수익을 내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상장 가치가 보수적으로 봐도 2~3조원 안팎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DART.다트)에 따르면,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체로 등록된 다스의 지난 2016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8,400억원, 34억 4,000원으로 보고됐다.

시장전문가는 "다스의 영업이익과 연 매출, 그리고 주가수익비율(PER) 등을 계산할 때 주식시장에 공개될 경우 왠만한 대기업 우량주 못지않은 시가총액을 형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전에 비상장상태인 다스의 가치를 보수적으로 산출한 바 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차명주주이자 재산관리인이었던 처남 김재정 씨가 2009년 사망하자 이듬해 부인 권영미 씨가 상속과정에서 지분 19.7% 가량(5만 8,800주)을 물납했는데. 이를 416억원 가치로 공식 인정한 사례가 있다.

한 주당 70만 7,500원 정도의 대박주다. 다스의 액면가는 1만원이다. 물납이란 상속세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본인이 갖고 있는 주식을 납부하는 방식이다.

시장 관계자들은 다스가 한 주당 비상장거래시장에서 50~60만원 정도에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상장시 시기를 잘 맞춘다면 충분히 4~5배 가량 상승할 펀더멘털(기초체력)을 갖췄다는 게 증권가 분석이다.

기획재정부는 다스의 3대주주로 2017년 10월 기준 19.9%를 보유하고 있다. 권 씨는 남편 사망 이후 지분 일부를 MB의 청계재단 등에 넘기면서 2대주주(23.6%.6만 9,700주)가 됐고, MB큰형 이상은 다스 회장은 지난 1995년 도곡동땅 매각 자금 130억원 중 일부인 7억 9,000만원으로 대부기공(다스의 전신) 유상증자에 참여한 이후 김재정 씨 지분 일부를 추가로 인수해 다스 최대주주(47.26%.13만 9,600주)에 올랐다. MB의 고교동창 김창대 씨와 청계재단은 각각 1만 2,400주(4.20%)와 1만 4,900주(5.03%)를 보유하고 있다.

◆다스는 MB 사금고... 차명재산.해외은닉재산 추적해야

다스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서울시장 말기 대권주자로 거론되기 시작한 2000년 중반께 현대자동차 납품업체로 선정됐다. 이후 10여년 만에 매출 1조원에 육박하는 회사로 급성장하게 된다.

현재, 검찰은 공소장에 이명박 전 대통령이 다스의 실소유자라고 밝힌 상태다. 또한 초기 설립자금을 투자와 회사창립 인력 등을 직접 끌어왔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정황증거로 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중반 사이 다스가 분식회계를 통해 매년 수익을 감추는 방법으로 30~40억원, 총 350억원 가량의 현금을 비자금으로 만들어 이 전 대통령에게 전달했다고 제시했다.

다스는 이 대통령이 국회의원 시절부터 서울시장, 이후 대선과정과 대통령 당선 이후에도 정치자금 인출기 역할을 했다.

이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다스를 친인척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차명보유한 증거라고 검찰은 주장하고 있다.

이상은 회장이 다스의 서류상 오너이자 최대주주이지만 이명박 대통령이 실소유주가 아니라면 회사의 영업이익 중 상당액을 매년 상납 받거나 법인카드를 탈법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판단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최측근이었던 이병모 청계재단 사무국장은 최근 검찰조사에서 도곡동땅 실소유자는 이명박이라면서, 지난 2008년 1월 정호영 특검에 소환 때 조사받을 당시 도곡동땅을 이상은 회장과 김재정 씨가 공동 소유했다고 진술했던 것을 10년 만에 번복했다.

이상은 회장이 당시 도곡동땅 절반을 팔아 다스의 지분을 인수한 만큼 도곡동땅 실소유자가 이명박이라는 측근의 증언이 사실로 인정받을 경우 이 전 대통령은 다스의 실질적 소유자로 확증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검찰이 추정한 이명박 전 대통령의 재산은 70억원 가치의 논현동 자택과 차명재산으로 분류된 40억원 가치의 부천시 내동공장을 포함해 1,000억 안팎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이명박의 아들 이시형이 지배력이 가진 다온 등 협력업체들의 사업가치를 고려하면 이 전 대통령 일가 재산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검찰 내부에서도 해외로 은닉한 비자금 등을 찾아내지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한 회의론도 제기되고 있다. 단순히 수백억 규모 횡령.특가법상 뇌물수수, 기천억 수준의 차명재산 수사가 아니라 역사상 유례를 찾기 힘든 초유의 '이명박 비자금조성게이트'라는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