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선거 시스템이 도입 될 전망이다. (사진=픽사베이)

[뉴시안=송범선 기자] 선거도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암호화폐)에서 활용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이뤄질 전망이다. 암호화폐 블록체인의 순기능적인 측면이다.

투표 정보의 위조나 변조는 물론 투표 결과를 조작할 가능성도 낮아질 수 있는 온라인 투표 시스템이 탄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존 온라인투표 시스템은 그 신빙성에 말이 많았다. 해커 등이 투표율을 조작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특히 최근 드루킹 댓글 조작 파문이 일고 있는 가운데 온라인 보안은 핵심적인 화두로 올랐다. 이에 대해 안철수 서울시장 후보는 “드루킹에 의해 조작된 불법 선거”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가상화폐에 적용되는 블록체인의 보안 시스템이 선거에 적용되면 더 정교한 해킹 방지가 가능하다. 이에 이번 중앙선관위의 공지가 더욱 주목되고 있다.

2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중앙선관위)가 4차 산업혁명 핵심으로 꼽히는 블록체인 기술을 온라인 투표시스템에 적용하는 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중앙선관위가 이번에 꺼내든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투표 시스템은 투표에 관한 정보 저장방식이 중앙 집권형에서 분산형 시스템으로 바뀐다는 특징을 갖는다. 종전처럼 PC와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진행한다는 점은 같아 편의성을 띄고 있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유권자의 본인 인증 및 투표 내용 등이 블록체인에 기록된다. 이에 중앙 서버 뿐 아니라 다수의 노드(Node·정보 저장 및 전송 역할)에 분산 저장 및 공유되는 것이다.

후보자와 참관인 등 이해관계자에게는 이 노드와 개표 결과를 검증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고, 관계자가 어떠한 정보를 수정 또는 삭제하려면 다른 사용자의 승인을 얻어야하기 때문에 투표 결과의 조작 가능성도 줄어든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선거 시스템이 도입 될 전망이다. (사진=픽사베이)

이날 중앙선관위는 "정보의 보안과 투명성이 중시되는 금융업, 공공분야에서 블록체인 도입 움직임이 확산되는 가운데 온라인 투표시스템의 활용영역이 정당의 경선, 대학교 총장선거 등 공공성이 높은 영역으로 확장되면서 더 높은 수준의 보안성이 요구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정부측의 온라인 선거는 이번 투표 시스템이 처음이 아니다.

중앙선관위의 온라인투표 케이보팅(K-voting)은 2013년 처음 도입됐다. 첫해 이용건수는 16건, 2014년엔 107건, 2015년 512건으로 급속도로 늘어났다. 이후 2016년엔 1026건으로 2017년엔 1360건, 올해는 지난달 31일 기준 528건이 이용됐다. 총 3557회, 이용자수는 440만917명에 달한다.

중앙선관위는 "정보의 위·변조 가능성이 낮고 해킹 등 공격시도에 안전하기 때문에 온라인 투표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며 "투표 과정과 결과에 대한 높은 투명성은 신뢰를 쌓고 후보자와 참관인, 유권자 등 모두가 개표 결과를 깨끗이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다"고 밝혔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선거시스템 도입으로 앞으로 더욱 공정한 선거가 이뤄질 전망이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