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정상회담에서는 수백 곳에 이르는 북한 핵시설의 동결·불능화 절차가 핵심 쟁점이 될 전망이다. 지난 2008년 6월 27일 북한 영변 핵 냉각탑 파괴 모습. (사진=뉴시스)
북미 정상회담에서는 수백 곳에 이르는 북한 핵시설의 동결·불능화 절차가 핵심 쟁점이 될 전망이다. 지난 2008년 6월 27일 북한 영변 핵 냉각탑 파괴 모습. (사진=뉴시스)

 

[뉴시안=김도진 기자]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북미 정상회담 개최가 확정됐다. 이제는 북핵폐기의 핵심 쟁점인 비핵화 검증 작업에 전 세계의 이목이 쏠렸다.

북한의 핵시설 중 가장 대표적인 곳은 지난 2006년 냉각탑을 공개 폭파했던 평안북도 영변 핵단지와 제1~6차 핵실험을 실시해 익히 알려진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등이다.

영변 핵단지에는 IRT-2000형 연구용 원자로와 5㎿ 원자로, 25~30㎿급 경수로 등과 함께 동위원소생산시설, 방사화학실험실, 폐기물시설, 우라늄농축시설 등이 몰려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뉴욕타임스(NYT)는 미 정보기관 보고서 등을 인용해 북한에 40~100개 핵시설이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중 IAEA와 미국 등이 가장 집중하게 될 곳은 '원자로'가 될 전망이다.

검증에 투입될 인력도 문제다. 북한의 핵시설 규모로 비춰봤을 때 300명 정도 되는 IAEA 조사관 전체가 투입돼도 검증하기에는 벅차다.

현재 이란에 투입된 조사관 80명을 제외하면 IAEA의 남은 조사관을 다 가용해도 220여명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현재 북한에서 가동 중인 원자로 불능화 작업은 짧으면 6개월 이내에도 가능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했다.

서균렬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이에 대해 "핵물질을 제거하고 완전히 (콘크리트) 석관(石棺)으로 묻어야 한다"며 "석관 작업은 빠르면 6개월이면 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핵실험장 내부에 남아있는 플루토늄이나 고농축 우라늄을 수거하는 문제도 남아 있다.

1945년 히로시마에 투하된 핵폭탄의 경우 사용된 65㎏의 고농축 우라늄 중 실제 분열한 것은 약 1~2%정도 인 것으로 알려졌다. 즉 나머지 99%는 우라늄 형태로 흩어진 것이다.

북한의 핵도 이와 비슷한 효율이었을 거라고 가정할 경우, 갱도 안에 우라늄이나 플루토늄이 상당히 남아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이를 수거할 필요가 있다.

서 교수는 "핵실험장에서 남은 플루토늄이나 고농축 우라늄을 쉽게 끄집어 낼 수 있다"며 "이것들을 더 이상 쓸 수 없게 화학적으로 변형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