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출처=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출처=뉴시스)

[뉴시안=김지형 기자] 미 정부가 그동안 북한 비핵화의 유력한 해법으로 거론돼 온 '선 핵포기- 후 보상'을 골자로 하는 이른바 '리비아식 모델'에서 한 발 물러섰다.

다만, '완전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 원칙'은 마지노선으로 제시했다.

이 목표가 담보되지 않는다면 최악의 경우 북ㆍ미정상회담 결렬도 연연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북한이 핵개발 초기에 머물렀던 리비아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과 핵 무력 완성을 선언한 북한을 비교하는 것에 불만을 표출하고 있는 것에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16일(현지시간)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비핵화 모델에 대해 "정해진 틀은 없다"면서 "이것이 '트럼프 대통령의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샌더스 대변인은 북ㆍ미정상회담 철회를 경고한 북한에 대해 "충분히 예상해 온 일"이라면서 "설령 회담이 무산되더라도 연연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북한의 김계관 외무성 제 1부상은 이날 담화를 통해 "리비아식 핵포기 강요는 망발"이라 일갈했다.

 일방적 핵포기를 강요하면 북ㆍ미정상회담을 재고려할 것이라고 압박카드를 날린 셈이다.

미국 정부는 비핵화 원칙에서 정해진 틀이 없는 트럼프식 모델을 제안했다.

북ㆍ미정상회담 전후 양측 간 담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북ㆍ미정상회담 전후 미국과 북한이 냉탕과 온탕을 오가면서 주도권 쟁탈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미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북ㆍ미정상회담이 여전히 유효한가'라는 취재진의 질문에 "지켜봐야 할 것이다. 무슨 일이 일어날 지 지켜보자"면서 말을 아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무 결정도 내리지 않았다"고 말했지만 '북한의 비핵화 원칙을 고수하고 있느냐'에 대해 "그렇다"고 답했다.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은 이날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북ㆍ미정상회담의 성공을 위해 모든 걸 하겠다"면서 "회담의 목적, 즉 CVID 원칙에서 후퇴하지 않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그는 "북한이 점점 더 많은 보상 혜택을 요구하는 동안 북한과 끝없는 대화에 빠져들지 않을 것"이라면서 "우리는 과거 정부들이 했던 실수들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조선중앙통신은 김계관 제 1부상의 담화를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조미(북미)관계개선을 위한 진정성을 가지고 조미수뇌회담에 나오는 경우, 우리의 응당한 호응을 받게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김 부상은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볼튼을 비롯한 백악관과 국무성의 고위관리들은 '선 핵포기, 후 보상' 방식을 내돌리고 있다"면서 "리비아핵포기 방식이니, '완전검증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니, '핵, 미사일, 생화학무기의 완전폐기'니 하는 주장들을 거리낌없이 쏟아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는 언제 한 번 미국에 기대를 걸고 경제건설을 해본 적이 없다. 앞으로도 그런 거래를 절대로 하지않을 것"이라면서 북ㆍ미정상회담이 무산될 수 있음을 엄포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