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이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해 31일 발표한 6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사진=뉴시스)
한국경제연구원이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해 31일 발표한 6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사진=뉴시스)

[뉴시안=김지형 기자] 국내 주요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다시 위축세로 돌아섰다. 국제유가가 최근 강세를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향후 국내 경제에 불확실성이 높아질지 관망세가 목격되고 있다.

31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최근 실시해 발표한 6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는 전월의 100.3에서 95.2로 인하돼 기준선을 밑돌았다.

BSI 전망치가 기준선인 100 밑으로 떨어지면 향후 경기를 부정적으로 내다보는 기업이 긍정적으로 전망하는 기업보다 많게 집계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경연이 도출한 BSI 전망치는 지난 4월(96.3) 기준선을 하회했다 5월(100.3) 들어 기준선 이상을 회복했지만 불과 한 달 만에 다시 100 이하로 추락한 수치다.

해당 기업들은 수출ㆍ내수 등 수요 측면의 요인보다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채산성 악화를 경기전망 악화의 주 요인으로 꼽았다. 이를 반증하듯 한경연이 이번에 산정한 최근의 국제유가는 배럴당 70.7~78.8달러로 지난해 2016년 초 배럴당 22.8~27.9달러에 비하면 3배가량 인상됐다.

한경연은 원자재 가격 강세와 함께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도 자금전망에 부정적 우려 요인으로 지목했다.

지난 6월 BSI 전망치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내수와 수출은 기준선을 웃돌며 각각 100.5와 100.8을 기록했다. 반면, 자금사정과 재고는 각각 97.5와 102.5로 기준선을 밑돌았다. 고용과 채산성의 경우 각각 99.0과 95.2로 조사됐다.

지난 5월 BSI 실적치는 95.5로 확정됐다. 이는 기존 전망치와 다소 차이가 있어 실제 기업들의 실적은 전망치에 크게 미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됐다.

지난 5월 실적치를 세부별로 보면 재고(103.0)를 제외하고 내수(99.0)ㆍ수출(98.0)ㆍ자금(96.0)ㆍ고용(95.7)ㆍ채산성(97.0) 대부분의 부문이 기준치를 밑돌았다.

한 국내 경제전문가는 "국내외 불어 올 드라이빙 시즌을 앞두고 국제유가가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는 점이 여름 성수기를 앞두고 이번 기업체감지수 전망치에 반영된 것 같다"면서 "한국의 경우, 휘발유ㆍ엔진오일 등 관련 석유제품 및 중간제품을 제조ㆍ수출하는 화학ㆍ정유 업체들이 내수 쪽으로 좀 더 방향을 틀 것 같다. 이로 인해 정부에 대한 물류업계ㆍ배달업계 등의 보조금 요구 목소리도 높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국제유가가 당분간 강세로 유지되면서 국내 업체들의 마진율이 되레 높아질 수도 있다"면서 "얼마 안 남은 6ㆍ13 지방선거 등을 거치며 시중에 정부의 추경 등 사업예산이 본격적으로 집행되면서 국내 업체들도 펀더멘털을 회복하고 수출에 더욱 주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저임금 등이 시장 예상만큼 인상된다면 문재인 정권의 내수 부양 의지를 한층 더 고조시킬 수 있을지도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복수의 경제전분가들은 미ㆍ중 간 긴장감이 지속되고 있는 무역분쟁과 관련 한국 경제에 대한 파장 여부도 주목하고 있다.

철강ㆍ알루미늄 제품 등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트럼프 정부의 고율의 관세 부과를 두고 양측 간 재협상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정부는 미국의 철강제품에 대한 고율의 관세부과국에서 제외됐지만, 중국 등 제 3국을 기반으로 중간재를 수출입하는 업체들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감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대외수출에서 반도체 비중이 과도하게 높은 점도 한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낳을 수 있다는 분석과 함께, 후폭풍이 임박했다는 경고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국내외에서 모바일ㆍ디스플레이용 중간재를 수출입하는 업체들의 실적과 해외 투자를 좌우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국내 경제에 대한 위험요인으로는 가계부채의 급증, 오징어 등 신선제품의 급등, 농ㆍ축산용 화학제품 인상, 라면ㆍ햇반ㆍ콜라ㆍ생리대ㆍ의약품 상승 등 의식주 관련 요인뿐 아니라 향후 북한의 비핵화협상에 따른 불확실성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지방선거 결과에 따른 레임덕, 현 정권의 적폐수사 결과, 재벌ㆍ대기업금융산업의 독과점체제 개선, 온라인 기반 유통업체 확산 등이 내수 문제의 주요 원인으로 남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