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유가가 오름세를 지속하면 국제선 유류할증료도 인상된다.인천공항 출국장에서 바라본 여객기들이 이륙준비를 하고 있는 모습.(사진=뉴시스)
국제 유가가 오름세를 지속하면 국제선 유류할증료도 인상된다.인천공항 출국장에서 바라본 여객기들이 이륙준비를 하고 있는 모습.(사진=뉴시스)

[뉴시안=정윤기 기자] 최근 국제유가가 크게 오르면서 유가에 민감한 관련업계가 울상을 짓고 있다. 특히 유가 상승이 연료비 상승으로 이어져 수익과 직결되는 항공업계와 해운업계는 더욱 예민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4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7월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배럴당 64.75달러, 북해산브렌트유는 75.29달러로 거래됐다. 2016년 배럴당 최저 25달러까지 내려갔던 것에 비하면  3배 가까이 오른 셈이다.

항공업계·해운업계 연료비 상승으로 부담

유가가 수익성과 직결되는 항공업계는 유가 변동을 주시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한 해 연료로 3300만 배럴을 쓴다. 유가가 1달러 움직일 때마다 약 3300만 달러(약 340억 원)의 손익 변동이 발생하는 구조다.

항공업계는 "아직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는 입장이다. "아직 수익에 크게 영향이 있을 정도는 아니라고 본다. 일정 수준의 유가 상승은 유류 할증료로 보전된다"고 설명했다.

계속 오르는 유류 할증료, 항공 이용에 장애

하지만 유류 할증료 인상은 항공권 가격을 올리게 되어 여행 수요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실제로 올 들어 유가가 꾸준히 오름세를 보이면서 유류 할증료도 계속 오르고 있다. 유류 할증료는 싱가포르 항공유의 갤런 당 평균가가 150센트 이상일 때 단계별로 부과한다. 그 이하면 받지 않는다.

이달 국제선 유류할증료는 지난달 5단계보다 한 단계 상승한 6단계로 결정됐다. 6단계면 편도 기준 최고 7만2600원이 부가됐된. 2016년 5월 국제선 할증료 체계가 거리비례 구간제로 변경 된 후 가장 높은 단계가 적용됐다.

지난해 5월에서 9월까지 0단계였던 국제선 유류할증료는 지난해 10월부터 매달 꾸준히 올랐다. 지난해 10월 1단계에서 올 3월 5단계까지 오르다 4월 들어 한 단계 낮아진 4단계가 적용됐다가 5월 5단계, 6월 6단계로 다시 오르고 있다.
  국내선 유류할증료 역시 지난달 4단계(4400원)에서 이번 달 5단계(5500원)가 적용된다.

하반기 유가 상승 기조 지속 전망, ‘리스크 헷징' 필요

또 다른 항공업계 관계자는 "유가 오름폭이 커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항공유 인상 부담을 줄이기 위해 항공유가 저렴할 때 미리 사두는 헷징 방식을 사용한다. 위기를 관리하기 위해 유가가 급변할 경우 추가로 헷지를 시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해운업계 역시 유가 상승이 큰 부담이다. 해운업계는 운항원가 중 연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을 20% 정도로 본다. 올 1월부터 5월까지 싱가포르 선박연료유 평균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3% 상승한 394달러였다. 벙커C유 가격은 지난달 말 460달러를 기록, 최근 3년간 최고치를 기록했다.

실제로 현대상선은 올 1분기(1월~3월) 물동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2% 상승했지만 높은 유가 때문에 수익성은 악화됐다.

현대상선에 따르면 1분기 연료유 가격은 지난해 톤당 327.06달러에서 올해 376.73달러로 올랐다. 현대상선은 "연료유 가격 상승 등으로 영업 손실이 나아지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불확실한 국제 정세가 유가를 올리고 있다

국제유가는 당분간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삼성증권 심혜진 연구원은 "올해 국제유가는 WTI 기준으로 배럴당 58~78달러 선을 유지할 것"이라며 "하반기 평균 유가는 상반기 배럴당 65달러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경제연구원 역시 '국제유가 상승의 한국 경제 파급 효과' 보고서를 통해 "국제 원유 시장이 올 하반기 초과 수요 국면에 접어들면서 국제유가의 완만한 상승 기조가 예상된다"며 "유가 변동성이 실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리스크 헷징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유가가 80달러 선까지 오르리란 암울한 관측은 이미 나온 바 있다. 올 초 블룸버그 통신은 유가가 70~80달러 선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란과 북한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대응이나 회담결과가 완전히 나오기 전까지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는 것도 유가안정을 막는 요소다.

또한 이라크를 비롯하여 리비아, 베네수엘라 등 다른 산유국 정세도 불안해 생산량이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런 조건으로 현재 유가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