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올바른 블록체인 산업정책 전략모색 긴급 국회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사진=뉴시스)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블록체인 산업정책 국회토론회 모습 (사진=뉴시스)

[뉴시안=송범선 기자] 정부가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가상화폐) 관련 분야를 육성할 경우 2022년까지 5년 동안 최대 17만5000개의 신규일자리가 생긴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8일 한국블록체인협회는 KAIST 경영대학 이병태 교수팀에게 의뢰해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산업의 고용효과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올해 6월말 기준, 블록체인 연관기업에 7900명이 고용돼 있고, 암호화폐 거래소에 2200명이 고용되는 등 총 1만100개의 일자리가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팀은 현재 고용현황을 기준점으로 삼아, 시장성장 가능성과 정부정책에 따라 블록체인 산업의 신규 고용효과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했다.

9곳의 대표적인 글로벌 시장분석 전문기관의 블록체인 산업 성장률 중 가장 보수적인 전망은 2016년 그랜드 뷰 리서치(Grand View Reearch)의 37.2%, 가장 낙관적인 전망은 2018년 마켓 앤 마켓(Markets and Markets)의 79.6%였다.

가장 보수적인 성장률 37.2%일 경우, 현재와 같은 정부규제가 지속되면 신규일자리는 3만5800개 증가하지만 정책지원(ICO 허용 및 거래소 육성) 상황에서는 5만9600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가장 낙관적인 성장률 79.6%에서는 정부규제 시 10만5086개, 정책지원 시 17만5837개 증가로 나타났다. 두 경우 모두 정부규제가 지원으로 바뀌면 신규일자리 규모는 1.7배 늘어나는 것으로 전망됐다.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산업의 고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2022년까지 최대 17만5000개의 신규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전망했다 (사진 = 한국블록체인협회)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산업의 신규일자리 시나리오 (이미지=한국블록체인협회)

이병태 KAIST 경영대학 교수는 "지난 10월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가 발표한 신산업 분야에서의 일자리 목표인 9만2000개와 비교하면, 블록체인 산업은 최대 17만5000개의 일자리가 생겨나 거의 2배에 달하는 고용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며 정부정책의 전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어 그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분리한다는 것은 산업의 특성상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암호화폐 없는 프라이빗 영역만 육성할 경우 신규 일자리 창출은 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협회 관계자는 "그간의 연구가 구체적인 근거자료 없이 블록체인의 고용효과에 대해 전문가 예측에만 의존했던 것과는 달리, 이번 연구는 실증 데이터에 입각한 분석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팀은 지난 8일 국회 토론회에서 해당 연구의 중간결과를 발표했고, 추가 분석을 거쳐 20일에 최종결과를 협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진대제 한국블록체인협회장은 "정부가 '블록체인 진흥, 암호화폐 규제'의 제한적인 정책을 지속할 경우, 국내 거래소가 폐업하거나 본사의 해외이전 및 ICO업체들의 해외 이전이 본격화돼 기존 일자리마저 줄어들 것"이라며 우려를 표명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