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발표된 윈도 7 화면 (이미지=마이크로소프트)
2009년 발표된 윈도 7 화면 (이미지=마이크로소프트)

[뉴시안=최성욱 기자] 행정안전부는 행정기관이 사용하는 PC에 개방형 운영체제(OS)를 단계적으로 도입한다고 15일 밝혔다.  개방형 OS는 공개소프트웨어인 리눅스(Linux)를 기반으로 개발해 소스 프로그램을 공개하는 PC 운영체제들을 지칭한다. 

현재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의 업무용 컴퓨터는 마이크로소프트(MS)사의 윈도(Windows)에 거의 99.9% 이상 의존하고 있다. 매킨토시나 리눅스, 크롬OS 등의 다른 운영체제가 있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이기에 그동안은 사실상 묵인되어 왔다.

현장에서 사용중인 행정기관 PC는 2009년 출시된 윈도 7을 사용하는 기종이 상당수이다. 10년전 기종이다보니 MS의 정책에 따라 2020년부터는 무상 기술지원이 종료된다. 다시 말해 보안 취약점 발견되더라도 즉각적인 조치가 어렵게 된다. 때문에 전체 행정·공공기관에서는 윈도 7 기반의 PC를 교체하는 작업을 실시 중이며그 비용은 대략 7800억원 정도로 예상된다.

행안부는 우선 개방형 OS 적용이 용이한 인터넷망 PC부터 교체를 추진한다. 행정기관은 보안상의 이유로 인터넷망과 업무망을 분리해 PC를 운용하고 있다. 최근 윈도 환경에서만 동작하는 플러그인을 걷어내고 있으며 개방형 OS의 성능이 개선되었기애 도입 여건이 조성됐다는 게 행안부의 판단이다.

여기에 문서작성 및 표계신 프로그램등 각종 상용SW들이 PC에 설치할 필요 없이 인터넷으로 접속해 이용하는 '웹 오피스'(Web Office) 기반으로 전환되고 있어 이 역시 걱정을 덜어낼 것으로 보인다.

행안부는 공공기관이 개방형 OS를 도입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며 민·관 협의체를 꾸려 SW기업들의 개방형 OS 호환성 확보도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