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서울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모두발언하는 이낙연 국무총리 (사진=뉴시스)
세종-서울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모두발언하는 이낙연 국무총리 (사진=뉴시스)

[뉴시안=이석구 기자] 국제표준시장 선점을 위해 정부가 나선다. 정부가 국제표준 시장 선점을 위해 4년 내 혁신산업 분야 표준 300건을 새로 제안하고, 국제표준화기구 의장단에도 국내 인력이 들어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4차 산업혁명시대 국제표준화 선점 전략'을 발표했다. 

산업부와 표준 관계부처는 우선 전기·자율차(52종), 수소에너지(28종), 지능형로봇(18종), 스마트제조(27종), 바이오·헬스(41종) 분야 국제표준 개발에 나선다. 또한 드론·해양구조물(25종)과 스마트 시티·홈(23종), 비메모리(33종), 디스플레이(39종), 스마트 팜(14종) 분야까지 더하면 총 300건의 국제표준을 제안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2023년까지 혁신산업 분야에서 1500여건의 국제표준이 개발될 것으로 예상하는바, 300건을 제안하여 전체 국제표준의 20%를 선점하겠다는 전략이다. 통상 국제표준화기구는 제안서를 받고 채택까지 3~4년가량 검증 절차를 실시한다.

이상훈 산업부 표준정책국장은 "그간 우리나라에서 제안한 국제표준의 채택률은 70~80%로 미국과 일본, 독일 등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세계 3대 국제표준화기구인 ISO와 IEC, ITU 의장단에 속한 국내 인력을 60명까지 늘리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현재 이 기구들의 기술위원회와 분과위원회 의장, 간사로 국내 인력 41명이 포함돼있다.

국제표준화기구 의장단은 국제표준 제정 과정을 주도하게 되는데 의장단 진출이 늘어나면 우리 기술의 국제표준 선점에도 유리하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기업 전문가들에 대한 국제표준화 활동 참여를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또 ISO와 IEC에서 우리가 주도할 수 있는 분야별 기술위원회를 신설한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우리가 국제표준을 주도하는 퍼스트 무버가 돼야 한다"며 "2023년에는 미국과 독일, 일본에 이어 국제표준 경쟁력 세계 4강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올해 20조원을 돌파한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을 지렛대로 활용해 국제표준을 선점할 수 있는 신기술을 확보해야 한다"며 국제표준화 시장 선점을 위한 정부와 민간의 긴밀한 협력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