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안바르주 아인 알아사드 미 공군 기지가 8일 이란의 지대지 미사일 공격을 받았다. 사진은 지난 2017년 11월 8일 아인 알아사드 기지에 배치돼 있는 미 해병대의 모습. (사진=뉴시스)
이라크 안바르주 아인 알아사드 미 공군 기지가 8일 이란의 지대지 미사일 공격을 받았다. 사진은 지난 2017년 11월 8일 아인 알아사드 기지에 배치돼 있는 미 해병대의 모습. (사진=뉴시스)

[뉴시안=박현 기자]지난해 연말에 이어 새해 벽두부터 미국과 이란의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전운까지 감돌면서 중동지역에 진출한 국내 건설사들에 비상이 걸렸다.

해당 건설사들은 양국 간의 전면전 가능성까지 드러나자 사태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최근 해외건설 수주가 좀처럼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전쟁 발발 시 건설업계의 ‘텃밭’인 중동 전반으로 위기감이 확대되며 수주에도 직격탄을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할 경우 중동지역 전반의 공사 일정에 막대한 차질이 예상된다.

지금 이란에는 국내 건설 현장이 없다. 지난 2016년 경제제재 해제 직후 이듬해까지 대규모 공사들을 수주했다가 미국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가 재개되면서 공사계약이 대부분 해지됐다. 대표적으로 2017년 현대엔지니어링과 현대건설이 수주한 3조8000억 원 규모의 이란 ‘사우스파12 2단계 확장공사’, 대림산업이 따낸 2조2000억 원 규모의 이란 이스파한 오일 정유회사(EORC)의 이스파한 정유공장 개선 공사 등이다.

문제는 미국과 이란 간의 갈등 여파가 국내 건설사들이 대거 진출한 이라크 등 주변 국가로 확산되거나 장기화될 경우, 중동 건설시장 전반에 대형 악재로 작용하며 올해 해외 수주도 회복 불가능한 상황이 올 수 있다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로 공사가 지연되거나 수주가 취소되는 증 중동지역 시장이 위축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해외건설협회와 통계청에 따르면 2014년 85억3200만 달러(약 9조9600억 원)에 달했던 국내 건설사들의 이라크 수주 규모가 IS 내전 기간이었던 2017년까지 1300만 달러(약 152억 원)로 급감한 사실을 한 예로 들 수 있다.

신동우 해외건설협회 아중동실장은 “미국과 이란의 갈등 고조로 중동지역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며 “상황 변화에 따라 공사가 지연되거나 예정된 수주나 발주가 축소되거나 취소될 여지가 있다”고 내다봤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라크에는 14개 건설사의·35개 건설현장에 1381명의 국내 근로자들이 근무하고 있다. 현대건설과 GS건설, SK건설 등이 공동 시공 중인 카르빌라 정유공장 현장에 660여 명, 한화건설의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 현장에는 390여 명이 근무 중이다. 대우건설의 알 파우 방파제와 컨테이너 터미널 현장에 62명, 포스코건설의 쿠르드 카밧 화력발전소 및 바지안 변전소 현장에 42명이 일하고 있다.

이들 건설현장은 분쟁 주요지역인 바그다드나 공습 지점과는 떨어져 있는 데다 이라크 군대와 경찰, 경비 인력 등이 배치돼 있어 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국내 건설사들은 비상사태 매뉴얼 등을 점검하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현대건설 측은 “현장과 본사 직통 전화를 연결해 상황을 공유하며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비상사태 매뉴얼을 숙지하고 안전 대응 예행연습도 하고 있다”고 밝혔다. GS건설 관계자는 ”현지 상황을 주시하는 가운데 위급 시 인근의 안전한 국가로 대피한다는 방침“이라며 ”외교부의 지시·방침에 따라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우건설 측은 ”이라크 등 현재 진행 중인 중동지역 공사 현장에는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해당 지역 전체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외교부와 함께 이란과 이라크 등지에 비상연락망을 구축해 상시 모니터링 중이며, 교민과 현장 직원들의 외출이나 출장 등 외부활동을 자제하도록 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