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현지시간)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 류허 중국 부총리 등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에 참석한 인원들이 USTR 청사 회의실에서 단체사진을 찍고 있다.(사진=뉴시스)
10일(현지시간)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 류허 중국 부총리 등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에 참석한 인원들이 USTR 청사 회의실에서 단체사진을 찍고 있다.(사진=뉴시스)

[뉴시안=박재형 기자]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을 ‘환율조작국’에서 5개월 만에 제외하면서 미국과 중국이 휴전 모드로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조치는 미국과 중국의 1단계 무역합의 서명식을 이틀 앞두고 이뤄진 것으로, 미·중 전방위 경제충돌 속에 휘청거렸던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은 한층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미 재무부는 13일(현지시간) ‘주요 교역국의 거시경제 및 환율정책 보고서(환율보고서)’를 통해 중국을 환율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했다. 지난해 8월 지정한 환율조작국에서 제외한 것이다.

이번 미 재무부의 조치에서 눈에 띄는 점은 환율보고서의 발표 시점이다.

환율보고서는 지난해 11월 전후로 발표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미·중 1단계 무역협상과 맞물려 지금까지 나오지 않았다.

뒤집어 말하면 트럼프 행정부가 1단계 무역협상에서 관세뿐만 아니라 환율까지 포괄적인 합의를 압박하는 지렛대로 활용했고, 결과적으로 일정 부분 성과를 거뒀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중국이 미국산 농산물을 대규모 사들이고, 미국은 대중(對中) ‘관세 장벽’을 완화하는 기존 교환방정식에 더해 환율 이슈에서도 일정 부분 합의가 이뤄졌다는 의미가 아니겠느냐는 것이다.

동시에 중국에 추가로 ‘당근’을 제시함으로써 무역합의의 기대감을 한층 높이겠다는 취지로도 보인다.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미국이 무역합의를 이틀 앞두고 중국에 한발 양보했다”고 평가했다.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은 성명에서 "중국은 경쟁적인 평가절하를 자제하는 동시에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이는 이행강제적인 조치를 약속했다"고 밝혔다.

총 86쪽으로 알려진 1단계 무역합의문에 환율 부문도 반영됐다는 얘기다.

재무부는 환율보고서에서 미중이 무역과 통화 관련 이슈를 포함하는 1단계 무역합의에 최근 도달했다면서 이 합의에서 중국이 경쟁적 절하를 삼가고 환율을 경쟁의 목적으로 삼지 않는 것을 약속했다고 밝혔다.

무역협상을 주도한 미 무역대표부(USTR)도 환율 챕터가 합의문에 포함돼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환율 이슈는 이번 1단계 무역협상에서 므누신 장관의 주안점이었다고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했다.

교역 여건이 미국에 한층 우호적인 상황으로 흐르고 있다는 점도 '환율 휴전'을 끌어낸 요인으로 꼽힌다.

작년 8월 환율조작국 지정은 중국 위안화 환율이 달러랑 7위안을 돌파하는 위안화 약세 국면에서 단행됐다.

위안화 환율이 달러당 7위안을 넘는 ‘포치(破七)’는 위안화의 심리적 마지노선 격이다.

당시 ‘1달러=7위안’의 벽이 무너지자,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 당국이 사실상 환율조작을 했다고 보고 전격적인 환율조작국 지정으로 대응했다.

하지만 지난해 9월 이후로는 위안화 가치가 꾸준히 절상되면서 환율조작국 이전의 레벨로 되돌아간 상황이다.

재무부도 환율보고서에서 “지난해 9월초 달러당 7.18위안까지 평가절하됐지만, 10월에는 평가절상됐고 현재는 달러당 6.93달러 선에 머물고 있다”고 설명했다.

위안화 절상은 무역 측면에서는 중국산 수출품의 가격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미국으로서는 미-중 무역적자를 줄이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실제 미·중 무역불균형은 지속해서 개선되고 있다.

중국과의 상품수지 적자는 지난해 10월 278억 달러에서 11월 256억 달러로 22억 달러(7.9%) 급감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무역적자는 3개월 연속으로 감소세를 이어갔다.

관건은 환율 합의의 이행 여부다.

이와 관련, 재무부는 환율보고서에서 “중국 측은 환율과 대외수지 관련 정보를 공개하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