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0일 오후 경기 안산시청에서 열린 청.중.장년층 구인.구직을 위한 '안산 919취업박람회'에서 한 구직자가 취업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사진=뉴시스)
지난달 20일 오후 경기 안산시청에서 열린 청.중.장년층 구인.구직을 위한 '안산 919취업박람회'에서 한 구직자가 취업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사진=뉴시스)

[뉴시안=박재형 기자]지난해 구직단념자가 53만 명을 넘어 ‘취업이 그만큼 어렵다’는 현 구직상황을 보여줬다. 

27일 통계청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추경호 의원실(미래통합당)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구직단념자는 월평균 53만3000명에 달했다. 

이는 전년(52만4000명)보다 8000명 이상(1.6%) 늘어난 수치로, 구직단념자의 기준을 개정한 2014년 이후 최고치다. 2017년(7.4%)과 2018년(9.0%)에 이어 3년 연속 증가세다. 

구직단념자는 일할 능력과 의지가 있고 최근 1년 이내 구직활동을 한 경험도 있으나 노동시장 상황 등 비자발적인 이유로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사람을 말한다.

또한 추 의원실이 고용동향 마이크로데이터를 통해 구직단념자의 미구직 사유를 분석한 결과, 이전에 찾아봤지만 일거리가 없었기 때문에 구직을 포기한 사람은 지난해 총 16만9000명으로 역대 최고치였다.

2015년 16만 명에서 2016년 14만9000명으로 줄어든 뒤 2017년부터는 15만7000명, 2018년 16만1000명, 지난해 16만9000명으로 3년째 증가 추세가 이어졌다.

통계청은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사람의 사유를 11가지 항목으로 조사했는데, 그 중 ▲전공이나 경력에 맞는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 ▲원하는 임금수준이나 근로조건이 맞는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 ▲근처(주변)에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 ▲교육, 기술, 경험이 부족해서 ▲나이가 너무 어리거나 많다고 고용주가 생각할 것 같아서 ▲이전에 찾아봤지만 일거리가 없었기 때문에 등 6가지를 택한 사람들을 ‘구직단념자’로 분류한다.

이 가운데 교육·기술·경험 부족, 나이 문제 등 개인 사정 또는 외적 요인을 이유로 꼽은 경우를 제외하고 나머지 4개 문항(각종 사유로 일자리가 없다고 생각하거나 일자리를 찾을 수 없어서)에 응답한 사람은 지난해 42만 명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 구직단념자의 미구직 사유를 살펴보면, 지난해 30대 구직단념자 9만 명 가운데 3만1000명이 원하는 임금수준이나 근로조건이 맞는 일자리가 없을 것 같아 일자리 구하기를 포기했다고 답했다.

두 번째로 많았던 답변이 이전에 찾아봤지만 일거리가 없었기 때문에 구직을 포기한 경우로 이런 사람은 2만4000명이었다.

20대의 경우는 지난해 구직단념자 20만 명 가운데 4만 명이 이전에 찾아봤지만 일거리가 없어서 구직을 포기했다고 답했다.

2016년 4만1000명 이후 2017년(3만2000명)과 2018년(3만3000명)에 3만 명대로 감소했다가 다시 4만 명대로 올라섰다.

추 의원은 “정부의 아마추어 경제 정책 때문에 어려운 고용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데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까지 겹치며 국민이 느끼는 체감 경기는 최악의 수준”이라며 “친시장·친기업 기조로 경제정책을 바꿔야만 어려운 고용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