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사태로 대다수 기업들이 면접 등 채용일정을 연기는 가운데 3일 서울 한 대학교 취업광장 부스가 텅 비어있다. (사진=뉴시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사태로 대다수 기업들이 면접 등 채용일정을 연기는 가운데 3일 서울 한 대학교 취업광장 부스가 텅 비어있다. (사진=뉴시스)

[뉴시안=조현선 기자]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 여파로 숙박 및 음식업의 증가 폭이 축소되고, 도매 및 소매업 취업자 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일시적으로 문을 닫는 기관이 늘면서 일시 휴직자 수도 대폭 늘었다. 코로나19 사태가 고용 시장에 미칠 영향은 내달부터 본격적으로 드러날 전망이다. 

11일 통계청은 '2월 고용동향'을 발표하고, 지난달 취업자 수는 2683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49만2000명(1.9%) 늘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8월(45만2000명), 9월(34만8000명), 10월(41만9000명), 11월(33만1000명), 12월(51만6000명), 올해 1월(56만8000명)에 이어 7개월 연속 30만 명 이상 증가했다.

은순현 통계청 사횥오계국장은 "코로나19가 전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으나, 산업별로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며, "음식·숙박업은 지난 몇달 간 증가폭이 컸으나 이달 들어서 많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0만2000명·9.7%), 운수 및 창고업(9만9000명·7.0%), 농림어업(8만 명·7.1%) 등에서 증가했다. 코로나19로 외부 활동을 꺼리면서 택배 주문 등이 늘어났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제조업 취업자 수도 전년보다 3만4000명(0.8%) 증가했다. 2개월 연속 증가세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2018년 4월부터 21개월 동안 내림세를 유지하다 지난 1월 1년 10개월 만에 반등했다.

숙박 및 음식점업은 1년 전보다 1만4000명(9.6%) 증가에 그쳤다. 지난해 12월(10만명), 올해 1월(8만6000명)보다 증가 폭이 대폭 축소됐다.

특히 도매 및 소매업에서는 10만6000명(-2.9%) 감소했다. 2018년 8월(-12만3000명) 이후 가장 감소폭이 크다. 코로나19로 외출과 여행을 자제하면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정보통신업(-2만5000명·-2.9%),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2만3000명·-1.9%) 등에서 감소했다.

지난달 실업자는 115만3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만 명(-11.5%) 감소했다. 7개월째 내림세다.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인 실업률은 4.1%로 전년보다 0.6%p 내려갔다. 동월기준으로 2013년 이래 최저치다. 청년실업률(15~29세)은 9.0%로 1년 전보다 0.5%p 감소했다.

체감 실업률을 나타내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2.3%로 전년보다 1.1%p 하락했다. 청년층 고용지표3도 23.1%로 전년보다 1.3%p 내려갔다.

반면 일시 휴직자도 14만2000명(29.8%) 늘었다. 2010년 2월(15만5000명) 이후 최고치다. 전체 기준으로도 2011년 9월(32만4000명) 이후 가장 많다. 일시휴직자는 지난 주 일을 하지 않았으나 직장을 가지고 있던 자로 취업자로 분류된다. 고용동향 조사대상 주간에 공휴일이 껴있는 경우 통상 일시휴직자가 늘어나는 경향을 보인다.

은 국장은 "일시 휴직자는 무급휴직이라고 해도 복귀가 확실하고 무급기간 6개월이 넘지 않으면 취업자로 집계한다"며 "코로나19로 노인 일자리 등에서 확산방지 대책으로 무급휴직을 하면서 영향이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복귀가 불분명하고 무급기간이 6개월을 넘으면 비경제활동인구로 집계되지만, 복귀가 확실하기 때문에 일시 휴직자로 집계했다는 설명이다.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는 1670만8000명으로 전년보다 2만6000명(-0.2%) 줄었다. 

한편 코로나19가 고용에 미친 영향은 내달 본격화 될 전망이다. 2월20일 이후 확진자가 급증하는 추세를 보였기 때문에 그 이후의 영향은 3월 지표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숙박 및 음식·예술 여가 스포츠업 등 서비스업종 고용에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는 "코로나19 방역에 총력, 실물경제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고용시장 피해 최소화 및 경기·고용 회복 모멘텀 살리기를 위해 추경 예산을 비롯해 모든 정책적 역량을 총동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출처:뉴시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