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는 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성윤모 장관 주재로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대화 및 산업·기업 위기 대응반 1차 회의’를 개최했다. 사진은 회의에 앞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는 성윤모 장관.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산업부는 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성윤모 장관 주재로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대화 및 산업·기업 위기 대응반 1차 회의’를 개최했다. 사진은 회의에 앞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는 성윤모 장관.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뉴시안=박현 기자]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글로벌 산업질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8가지 산업전략을 제시하고, 종합적 전략인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가칭)을 올해 하반기까지 마련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산업부는 이날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성윤모 장관 주재로 이 같은 내용을 논의하기 위한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대화 및 산업·기업 위기 대응반 1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성윤모 산업부장관, 농림축산식품부·환경부·중소벤처기업부 등 12개 부처 관계자, 산·학·연 전문가 등 총 23명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앞서 발표된 산업‧기업 지원 대책의 추진상황과 산업현장의 애로사항을 점검했다. 이어 바이오·방역, 비대면 경제, 글로벌 공급망 등 코로나19 이후 산업 변화와 관련된 민간 전문가를 초청해 향후 산업전략 방향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

이와 함께 산업부는 ‘포스트 코로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8가지 산업전략도 제시했다.

먼저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기 위해 유턴 활성화, 핵심품목 관리, 밸류체인 핵심기업 유치 등에 주력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투명하고 안전한 첨단제품 생산기지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산업현장 복원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지원도 이뤄진다. 생산라인 재배치, 로봇과 인간이 함께하는 작업방식 설계, 산업별·기업별 방식 표준화 등 산업 지능화를 통해 생산 차질을 최소화하고 생산성 향상을 도모한다는 것이다.

K-방역과 K-바이오가 K-팝에 이은 신(新)한류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글로벌 상품화를 추진한다. 국내 백신 위탁생산시설인 미생물실증지원센터와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등을 활용해 글로벌 백신 생산의 중심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도 설정했다.

5세대(5G)통신, 디지털인프라, 4차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온라인 유통·교육 등 비대면 산업도 육성할 계획이다.

현재 저유가 기조를 산업구조 혁신과 에너지 전환의 기회로 활용해 에너지 소비효율 향상, 재생에너지, 수소경제 등 에너지 신산업 확산으로 연결하겠다는 비전도 제시했다. 철강·석유화학·정유 등 주력 산업의 화석연료 의존도도 점진적으로 축소할 예정이다.

자동차·철강 등 주력 산업의 사업 재편과 신산업 분야 진출을 활성화하기 위한 지원도 추진된다.

대기업 및 중소·중견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업종·기업간 한국형 산업 연대와 상생협력 모범사례도 적극 창출하기로 했다.

방역 모범국과 제조 강국의 위상을 활용해 보호무역 타파와 자유로운 인적·물적 교류 주창으로 글로벌 논의도 주도할 계획이다. 이에 기업 필수인력 예외 입국 표준모델 선도, 무역·투자에 관한 추가적 장벽 설정 중단 등을 양자 및 다자협의체를 통해 제안하기로 했다.

성윤모 장관은 “올해 상반기에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 대응, 비대면산업 육성, K-방역·K-바이오 글로벌 진출, 산업·통상 글로벌 리더십 발휘를 위한 정책 등을 준비할 것”이라며 “하반기에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산업질서 변화에 대한 종합적 전략인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