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통합당 비대위 긴급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시안=김동용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일부 상임위원회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입법·예산 활동을 시작했지만, 미래통합당은 딱히 대응할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박병석 국회의장은 15일 본회의에서 통합당 의원들이 불참한 가운데 18개 상임위원회 중 6개((법제사법위원회·기획재정위원회·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외교통일위원회·국방위원회·보건복지위원회) 상임위를 구성했다. 

지난 총선에서 잦은 장외투쟁으로 역풍을 맞았던 통합당은 대응 범위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강제 배분된 상임위를 보이콧 할 경우 대외에 당의 입장을 알릴 기회도 그만큼 줄어들 수밖에 없다.  

여기에 주호영 원내대표가 전날 본회의 직후 사의를 표명한 것도 악재다. 21대 전반기 국회 원 구성 협상이 아직 완전히 끝나지 않았지만, 여당과 협상에 나설 원내사령탑이 공백인 것이다. 

통합당 내에서는 주 원내대표의 유임을 지지하는 의견이 다수인 것으로 전해졌다. 원내대표의 사임은 의원들의 동의를 구해야 하는 점을 고려하면 주 원내대표가 사퇴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 

실제로 주 원내대표는 이날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과의 통화에서 "며칠 쉬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딱히 묘수가 없는 통합당은 여론전에 힘을 모으는 모양새다. 

김종인 위원장은 16일 오전 긴급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민주당을 압박하기 위해 김영삼 전 대통령까지 소환했다. 

김 위원장은 "과거 헌정사에서 다수의 횡포가 결과적으로 어떤 결과를 초래한지 잘 알고 있다"며 "대표적인 사례로 1979년 야당 총재인 김영삼 총재를 당시 집권세력이 다수의 힘으로 제명했다"고 상기시켰다. 

당시 집권 여당인 공화당은 제1야당이었던 신민당의 김영삼 총재를 국회의원직에서 제명했다. 김영삼 총재가 앞서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박정희 대통령의 제명이 필요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는 이유에서였다. 이후 김 총재의 제명은 부마민주항쟁과 10.26 사태의 단초가 됐다. 

전날 6개 상임위에 강제 배분된 조태용·태영호·유경준 등 통합당 의원 20여 명은 이날 오전 국회의장실을 방문해 강하게 항의했다. 이들 중 일부 의원들은 국회 의사과에 상임위원 사임계를 제출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