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형준 통계청 경제통계동향심의관이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6월 소비자물가동향‘을 공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안형준 통계청 경제통계동향심의관이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6월 소비자물가동향’을 공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시안=박현 기자]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0%를 기록했다. 지난 5월 8개월 만에 상승률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한 달 만에 올라선 셈이다. 다만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저물가 기조는 여전히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87(2015=100)로 전년 동월과 비교해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8월 –0.038%로 사상 처음 마이너스를 나타낸 데 이어 같은해 9월에도 –0.4%로 마이너스를 이어갔다. 올해 1월부터는 3개월 연속 1%대를 유지했지만, 4월 0.1%로 하락한 데 이어 5월 –0.3%를 나타내며 다시 마이너스로 전환된 바 있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국제유가가 크게 하락하고 교육지원 확대, 고교 무상교육 등 공공 서비스 물가도 내려가 6월 물가는 전반적으로 저물가 기조를 유지했다”며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 두기‘로 외식물가 상승폭이 둔화되고 여행 관련 개인서비스도 둔화됐다”고 언급했다.

이어 “다만 국제유가 반등이 지난달에서야 국내에 반영되며 석유류 가격 하락폭이 5월보다 축소됐다”며 “또한, 긴급재난지원금과 생활방역 전환으로 축산물 가격이 일부 상승했다”고 덧붙였다.

농축수산물은 전년보다 4.6% 상승했다. 봄배추 작황 부진으로 채소류 가격이 9.7% 상승하며 농산물 물가를 0.5% 끌어올렸다. 고등어(14.5%), 명태(18.0) 등의 가격 상승으로 수산물 가격도 6.9% 상승했다.

특히 집밥 수요가 늘면서 돼지고기(16.4%), 국산 쇠고기(10.5%) 등 축산물 가격이 10.5%나 오르며 전체 물가 상승에 0.24%p 영향을 미쳤다. 코로나19로 위축된 소비 진작을 위해 지급된 긴급재난지원금의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공업제품은 전년보다 1.4% 하락했다. 무엇보다 국제유가 하락에 따라 휘발유(-13.8%), 경유(-19.3%), 자동차용 LPG(-12.1%), 등유(-16.2%) 등 석유류가 15.4% 하락하며 전체 물가를 0.68%p 끌어내렸다. 다만 전월보다는 4.8% 오르면서 하락폭은 축소됐다. 긴급재난지원금의 영향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 소파(12.1%), 식탁(10.8%), 장롱(3.8%) 등 가구류의 가격 상승도 공업제품 물가 하락세를 일부 상쇄했다.

서비스 물가도 0.1% 상승하는 데 그쳤다. 고등학교 납입금(-68.0%) 등 교육 분야 정책지원에 따라 공공서비스가 2.0% 하락한 원인이 컸다. 석유류 국제유가 하락과 공공서비스 물가 하락이 전체 물가에 미친 기여도는 –0.96%p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0.2%), 월세(0.1%) 등 집세는 전년 대비 0.2% 상승했다.

개인 서비스도 1.0% 상승에 머물렀다. 특히 외식 물가 상승률은 0.6%였다. 외식 물가가 0%대 상승률을 보인 것은 2013년 2월 이후 올해가 처음이다.

이와 관련해 안형준 심의관은 “돼지고기, 쇠고기 등 축산물과 가구 등 내구재 가격은 올랐지만 외식 물가 상승률이 0.6%에 그친 것으로 볼 때, 긴급재난지원금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판단했다.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1개 품목을 중심으로 체감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보다 0.3% 하락하며 2개월 연속 역성장했다. 반면 생선, 해산물, 채소, 과일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의 물가를 반영하는 신선식품지수는 4.3% 상승했다.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한 물가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하는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지수(근원물가)는 축산물과 가공식품 가격 상승으로 0.6% 상승했다. 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전년보다 0.2% 오르는 데 그쳤다.

안 심의관은 향후 전망에 대해 “석유류 가격은 7월에도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며 “소매판매가 살아나면서 수요도 일부 증가하겠지만, 정부 정책으로 보면 교육 분야에서 가격 하락 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