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6일, 녹색산업 시장 확대와 탄탄한 성장 기반 구축을 목적으로 하는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방안을 발표했다. 사진은 지난 5월 12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 열린 환경부 산하 공공기관과의 녹색산업 혁신 성장을 위한 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는 조명래 환경부 장관. (사진=환경부)
정부는 6일, 녹색산업 시장 확대와 탄탄한 성장 기반 구축을 목적으로 하는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방안을 발표했다. 사진은 지난 5월 12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 열린 환경부 산하 공공기관과의 녹색산업 혁신 성장을 위한 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는 조명래 환경부 장관. (사진=환경부)

[뉴시안=박현 기자]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녹색 분야 유망기업 100개사를 선정해 3년간 기술 개발과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또한, 5대 핵심 녹색산업별 녹색융합클러스터를 광주, 인천, 춘천 등에 조성해 녹색산업 성장을 도모하고, 친환경 생태공장 건설을 지원한다. 이와 더불어 녹색산업을 뒷받침할 녹색금융의 틀을 확대한다.

환경부는 이 같은 내용의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방안을 6일 발표했다. 이는 지난달 14일 발표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그린뉴딜 3대 분야 중 하나로, 녹색산업 시장 확대와 탄탄한 성장 기반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즉 기후·환경위기에 대응하고 우리 경제의 신성장동력을 창출하겠다는 것이다.

환경부는 이러한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에 총 2조9000억 원을 집중 투자, 2만4000여 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또 녹색금융 제도를 구축해 녹색 전환을 견인한다는 방침이다.

해당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은 구체적으로 ▲녹색 혁신기업 육성 ▲지역 거점 조성 ▲스마트 생태공장 건설 ▲녹색산업 성장기반 구축 등 네 가지 세부 과제로 구성된다.

먼저 녹색 혁신기업 육성과 관련해 청정대기, 생물 소재 등 성장 가능성이 큰 주력 녹색산업을 중심으로 맞춤형 지원사업을 실시한다.

유망 창업 아이템을 가진 녹색 분야 예비·초기창업 기업을 대상으로 홍보와 마케팅, 판로 확대, 사업화 자금 등을 제공한다. 독자기술 보유 기업엔 시제품 제작, 혁신설비 설치, 친환경 소재 개발 등을 지원한다.

환경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2022년까지 녹색 분야 유망기업 100개사를 선정, 3년간 기술 개발과 해외 진출을 도울 예정이다.

1조2000억 달러 규모인 세계 녹색산업 시장은 반도체 시장보다 3배 더 크다. 현재 미국 ‘에이컴’, 프랑스 ‘베올리아’, 독일 ‘지멘스’ 등이 녹색 분야로 수익을 올리고 있다. 반면 지난 2018년 기준 국내 5만8000여 개 녹색기업 중 90%는 연 매출 100억 원 이하의 중소기업이다. 다만, 해당 기업들이 규모는 작지만 성장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당국은 보고 있다.

또한, 지역 거점 조성과 관련해 청정대기, 생물 소재, 수열에너지, 폐배터리, 자원 순환 등 5대 핵심산업별 녹색융합클러스터를 조성한다.

이를 위해 2022년까지 광주광역시에 450억 원을 투입해 실증화 시설과 연구·생산시설을 갖춘 청정대기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또 인천 환경산업연구단지에 400억 원을 들여 자생생물 증식 인프라를 조성해 생물산업 성장을 돕는다.

강원도 춘천에는 2027년까지 3040억 원을 투입해 소양강댐을 활용한 수열에너지 융복합클러스터를 완공하고, 이 곳에 데이터센터와 스마트팜을 유치할 예정이다. 또 폐배터리와 고품질 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구상연구를 추진한다.

이와 함께 올해 하반기부터 ‘녹색융합클러스터 지정 및 육성에 관한 법률(가칭)’ 제정을 추진해 녹색 클러스터 조성 및 지원 제도를 마련할 예정이다.

아울러 스마트 생태공장 건설과 관련해 제조업 오염물질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2022년까지 중소·중견기업 제조업 공장 100곳을 대상으로 환경 설비 개선비를 지원한다. 폐열 회수, 고효율 기자재 교체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한편, 폐수와 폐기물을 공장 자체에서 순환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한다.

한 발 나아가 생태공장 조성에 기업당 최대 10억 원까지 지원한다. 자부담 비율을 중소기업 40%, 중견기업 50%로 지정하는 한편, 사업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사후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그밖에 녹색 자금을 조성하고, 2025년까지 저금리 미래환경산업 융자 1조9000억 원을 조성해 녹색산업을 뒷받침한다. 또 2021년부터 2025년까지 2150억 원 규모의 민·관 합동펀드를 조성해 미래 성장성이 높은 생물산업, 미래차, 청정대기산업 등을 지원한다. 또한, 한국형 녹색금융 분류체계, 환경 책임투자 및 녹색 채권 지침서 등을 마련하고, 관련 법령을 개선할 방침이다.

김동구 환경부 환경경제정책관은 “녹색산업은 우리가 겪고 있는 기후·환경 위기를 해결하면서도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지속가능한 산업”이라며 “국내 기업이 독자적인 기술경쟁력을 갖춰 세계 녹색 시장을 선도하고 좋은 일자리를 많이 창출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든든하게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