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서울-세종 화상으로 열린 제1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서울-세종 화상으로 열린 제1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시안=박현 기자]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3일 “핵심 수출형 서비스산업에 오는 2023년까지 4조6000억 원의 자금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홍남기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경제 중대본) 회의 겸 제31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2025년까지 서비스 수출 10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것이 목표”라며 이 같이 말했다.

홍 부총리는 “정부는 하반기 수출력 회복에 정책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 아래 향후 수출대책을 지속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며 “시장성, 경쟁력, 해외 진출 수요 등을 고려해 콘텐츠, 의료·헬스케어, 에듀테크, 디지털 서비스, 핀테크, 엔지니어링을 유망 6대 K-서비스로 선정, 분야별 맞춤형 지원을 통해 수출의 획기적 확대를 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서비스 수출 인프라 구축, 글로벌 시장 경쟁력 제고, 기업 현장 애로사항 해결 등 3대 지원에 역점을 둔다는 방침이다.

홍 부총리는 “제조업 중심의 지원 기준을 서비스업 기업 특성에 맞게 개편하고, 핵심 수출형 서비스산업에 2023년까지 4조6000억 원의 자금을 공급할 것”이라며 “동일 분야 스타트업 기업을 중심으로 해외 진출의 선결 조건인 ‘트랙 레코드(Track-record)’가 축적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또 “해외 지적재산권 보호 강화, 서비스 수출 통계체계 개선 등 서비스 수출 인프라가 체계적으로 구축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서는 고용 충격 완화 및 신규 일자리 창출 방안도 논의됐다. 홍 부총리는 “취업자 수·고용률·실업률 등 고용지표 모두 코로나19 사태 이전과 비교해 볼 때 매우 엄중한 상황이나 다행히 지난 4~6월에 비해 조금씩 나아지는 추세”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청년 취업자 수, 고용률 등이 여전히 부진하다는 점이 매우 안타깝다”며 “경제 위기 시 청년들이 입직 지연에 따른 임금손실, 경력상실 등을 겪고, 이후에도 임금과 취업 기회가 낮아지는 ‘이력효과’도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홍 부총리는 “미래산업 및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새롭게 부상 중인 14개의 신직업을 발굴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스마트건설 전문가, 미래 차 정비기술자, 육아 전문 관리사 등 신직업이 활성화되도록 관련 법·제도 정비 및 전문인력 양성, 초기 시장수요 창출 등 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홍 부총리는 “국내에는 없으나 국제사회에서 주목을 받으며 국내 도입 가능성이 높은 사이버 도시분석가, 고속도로 컨트롤러 등 37개+α의 유망 잠재직업에 대해서도 도입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라며 “이러한 50여 개+α의 신직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이제부터 시도한 단계이지만, 향후 이러한 작업이 본격화되도록 가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사회적경제 기업 일자리 창출 지원방안도 이날 회의에서 다뤄졌다. 홍 부총리는 “사회적경제 기업의 잠재력과 일자리 창출 여력에도 불구하고, 유럽연합(EU) 등 선진국에 비해 국내 사회적경제 기업의 역할은 상당히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사회적경제 기업의 질적 성장과 자생력·경쟁력 강화 등을 통해 2022년까지 6만4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가 이날 회의에서 제시됐다.

홍 부총리는 “1억~3억 원인 사회적경제 기업 성장 특례보증 지원 규모를 최대 2배로 늘리고, 연 240억 원 규모의 사회투자펀드 조성액도 500억 원으로 확대할 방침”이라며 “공공기관의 의무구매 제도화, 온라인 판매채널 확대 등을 통해 사회적경제 기업의 스케일업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사회적경제 기업이 지역 고용창출·투자 확대 등 지역순환경제의 거점이 될 수 있도록 지역별 혁신타운·성장지원센터 등 사회적경제 허브로 조성하고, 이를 통해 지역밀착형 사업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적 돌봄 분야 진출, 소셜벤처 스케일업 지원, 문화·교육·과학 분야 사회적경제 기업 자생력 강화 등도 추진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