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T 업무 흐름도(자료제공=서울시)
S-APT 업무 흐름도(자료제공=서울시)

[뉴시안= 손진석 기자]국토교통부는 올해 수도권을 시작으로 자율주행자동차용 정밀도로지도의 일반국도 확대 구축을 착수했다.  2021년 정부 예산안 160억원 반영을 통해 내년까지 수도권, 강원권, 전라권, 경상권 등 4개 권역의 일반국도 정밀도로지도를 제작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5일 자율주행의 핵심 인프라인 정밀도로지도의 구축 범위를 확대해 2022년까지 전국 일반국도 약 1만4000㎞의 정밀도로지도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현재까지 제작이 완료된 전국 고속국도와 주요도심 등 약 6000㎞와 함께 2022년 말 기준으로 전국 간선도로를 중심으로 약 2만㎞의 정밀도로지도가 구축되어 자율주행 시대의 핵심 기반요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정밀도로지도(축척 1:500)는 차선, 표지, 도로시설 등 도로와 주변시설을 3차원으로 표현한 정밀 전자지도로, 자율주행 기술개발과 이를 위한 차량-도로 간 협력주행체계(C-ITS)의 기본 인프라로 활용되고 있다.

기존 전자지도(1:5000 국가기본도 등)는 도로의 차선단위의 정보가 없지만 정밀도로지도는 차로 구분이 가능해 자율주행차량의 차로변경‧조향에 활용 가능하다. 또한 C-ITS(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 System)는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이 도로시설‧다른 차량과 서로 통신하며 위험정보를 전파‧공유해 자율차‧일반차의 주행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주게 된다.

CITS-개념도 (사진=국토교통부)
CITS-개념도 (사진=국토교통부)

세부적으로 노면선표시(차선, 정지선 등), 안전표지판, 신호등, 노면표시(화살표, 횡단보도 등) 등 14종의 정보를 담고 있다. 정밀도로지도의 기본 형태인 지형․지물의 좌표가 포함된 점, 선, 면을 사용해 표현한 데이터인 벡터데이터와 정밀도로지도 제작을 위해 취득하는 3차원 좌표를 가진 점의 집합으로 레이저스캐너를 통해 취득한 데이터인 점군데이터(Point Cloud), 사진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정밀도로지도는 기상 악천후, GPS수신 불량 등의 상황에서 자율주행 차량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하고, 레이더, 라이더 등 자율주행차에 탑재된 센서 탐색거리(일반적으로 100~150m)보다 먼 거리의 도로상황을 예측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자율주행 센서를 보완한다.

더욱이 자율주행에 필요한 정보의 공통 저장소 개념으로 최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동적지도(LDM)에서 기본지도로 활용되어 자율주행을 위한 C-ITS 정보제공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통해 부분 자율주행차(레벨3)의 안전도 향상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차량의 판단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는 완전 자율주행차(레벨4~5) 상용화에 있어서도 핵심 인프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간 정밀도로지도는 평창올림픽 자율주행 시연(현대자동차 등), 도심형 자율주행차 개발(서울대), 판교 자율주행 순환버스 운행(경기도,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등), 세종․인천공항 자율주행버스 시범운행(세종, 인천국제공항공사) 등을 지원했다.

정밀지도 제작과정 (사진=국토교통부)
정밀지도 제작과정 (사진=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정보플랫폼을 통해 온라인 제공 중인 정밀도로지도는 2020년 8월 기준으로 약 1200여개 관련 기관‧기업 등에 약 1만8000여 건을 제공해 활용 중에 있다.

앞으로 국토교통부는 지난 7월 발표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에 따라 2025년까지 4차로 이상 지방도와 군도까지 추가로 구축하는 등 구축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이에 앞서 정밀도로지도에 대한 제도적 기반을 다지기 위해 올해 말까지 작업규정과 표준을 정비해 고시‧공고할 예정이다.

윤진환 국토교통부 자동차관리관은 “정밀도로지도는 앞으로 레벨3 이상의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있어 핵심요소가 될 것”이라며 “국토교통부는 정밀도로지도 구축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는 한편, 구축된 지도를 민간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