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가 '2020년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 현황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사진=뉴시스)
공정거래위원회가 '2020년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 현황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사진=뉴시스)

[뉴시안= 박은정 기자]대기업집단의 지주회사가 손자회사를 중심으로 지배력을 확대하고 배당 외 수익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공정거래위원회는 공정거래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조속히 통과돼 지배구조의 건전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8일 '2020년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 현황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그 결과 2020년 9월 말 기준 지주회사는 지난해 173개보다 6개 줄어든 167개로 집계됐다.

지주회사의 평균 ▲자회사는 5.3개에서 5.4개 ▲손자회사는 5.6개에서 5.9개 ▲증손회사는 0.5개에서 0.8개로 전년 대비 증가했다.

전환집단은 전체 지주회사와 달리 평균 손자회사 수(19.8개)가 평균 자회사 수(10.9개)의 2배 수준이었다. 지난 5년간 전체 손자회사 중 전환집단 소속 비중이 자·증손회사에 비해 12.5%포인트 증가했다. 전환집단이란, 지주회사·소속회사의 자산총액 합계액이 기업집단 소속 전체 회사의 자산총액 합계액의 100분의 50 이상인 대기업집단을 뜻한다.

또 지분율이 낮은 구간(상장 30%, 비상장 50% 미만)에서 상대적으로 전환집단 소속 자·손자회사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공정위는 "전환집단은 상대적으로 지배책임을 크게 부담하지 않으면서 손자회사를 중심으로 지배력을 확대해 왔다"고 분석했다.

총수 있는 일반지주 전환집단의 지주회사는 총수·총수 일가 평균지분율이 각각 26.3%와 49.5%로 이들 전환집단의 내부거래 비중은 평균 15.25%로 나타났다. 일반집단의 내부거래 비중 10.48%보다 현저히 높은 수준이다.

수익구조를 살펴보면, 배당수익보다는 배당 외 수익에 의존하고 있었다. 22개 대표지주회사 중 7개사는 배당 외 수익 비중이 7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당 외 수익은 브랜드 수수료, 부동산 임대료, 컨설팅 수수료 등으로 구성돼 있다. 

공정위는 "지주체제 내에서 부당 내부거래의 우려가 존재한다"고 꼬집었다. 

지주회사 체제 밖 계열회사 중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 비중은 최근 4년간 27%에서 50%로 증가하고 있다. 공정위는 "총수 일가가 지주체제를 지배하면서 지주회사의 소속회사와 체제 밖 계열회사 간 부당 내부거래를 행할 우려가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현재 공정거래법으로는 지주회사 제도가 지향하는 소유지배구조 개선·공정한 거래 형태를 담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자·손자회사의 의무지분율을 상향하고, 사익편취 규제대상을 확대하는 공정거래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