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뉴시스)

[뉴시안= 조현선 기자]정부가 2000억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되는 6G(6세대 이동통신) 핵심기술 개발 사업을 진행한다. 현재 미국·중국·유럽 등 세계 주요국은 이미 5G를 넘어선 6G 선점 경쟁에 돌입한 상황에서 우위를 선점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미래 이동통신 네트워크 주도권 선점과 비대면·디지털화 선제대응을 위한 6G 핵심기술개발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지난 7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이동통신 인프라는 디지털 뉴딜의 한 축인 '데이터 고속도로'의 핵심이자, 국민 편의는 물론 사회와 산업 발전의 필수 기반 기술로 꼽히는 상황에서 세계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한발 앞선 기술개발과 표준 선점이 필수적이다"라며 사업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또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 등 언택트 시대를 계기로 가속도가 붙은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에 있어 우리나라의 뛰어난 ICT 인프라 경쟁력을 고도화하고, 경제 반등의 모멘텀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지난 2018년 '6G 핵심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해 전문가 의견 수렴 및 대국민 공청회 등을 통한 중점 추진과제를 발굴했다. 지난해 4월에는 2025년까지 5년간 총 2000억원 규모가 투입되는 예비타당성 조사가 최종 통과된 바 있다.

이후 제1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에서 '6G 시대 선도를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을 확정해 발표했다. 이어 6G 핵심기술개발사업을 2021년 신규로 반영하고, 지난해 12월 18일부터 사업공고를 시행했다.

정부는 초성능·초대역·초공간·초정밀·초지능 등 5대 중점분야의 9대 전략기술 확보를 중심으로 투자를 진행한다. 먼저 올해는 초성능·초대역 분야 108억원, 초공간 분야 23억원, 초정밀·초지능 분야 33억원 등 총 11개 세부과제에 164억원을 지원한다.

또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 등 민간에서 적극적인 투자가 어려운 도전적이고 선도적인 분야의 기술 개발을 중점 추진할 예정이다. 특허청과 협력을 통해 구축한 표준특허 전략맵(표준특허 확보 가능성이 높은 기술 집중 발굴)을 바탕으로, IP-R&D 방식을 적용해 기업·기관에 R&D 자금과 표준특허 확보전략을 패키지로 지원할 예정이다.

또 6G 기초연구 강화와 전문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 중심의 6G 연구센터를 선정해 최대 5년 동안의 지원을 이어가는 등 튼튼한 연구기반 조성에도 힘쓴다.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산·학·연 전문가의 역량 결집으로 성공적인 사업 수행을 도모하고자 올해 3월부터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6G R&D 전략위원회’를 꾸린다. 이를 통해 산업계 및 관련 전문가의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사업 전반에 대한 목표와 추진현황·성과를 공유·검증할 계획이다. 또 국제 표준화 동향, 시장 요구사항 등을 고려, 필요시 투자대상 핵심기술도 조정해 나갈 계획이다.

최종적으로는 기술개발이 완료되는 2026년을 기점으로 5G+ 5대 서비스에 상용화 전 Pre-6G 기술을 적용하는 6G-Upgrade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이를 통해 개발된 기술이 서비스로 안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목표다.

한편 이번 신규사업 공고는 오는 2월 1일까지 한 달여간 진행되며, 8일에는 온라인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