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가 올해 CES에서 공개한 도심형 자율주행 컨셉 M.Vision S에 적용된 미래 인포테인먼트 기술. (사진=현대모비스 제공)
현대모비스가 지난해 공개한 도심형 자율주행 컨셉 M.Vision S에 적용된 미래 인포테인먼트 기술. (사진=뉴시스)

[뉴시안= 조현선 기자]정부가 미래 차 시장을 선도하고 자율주행 4단계 핵심 기술 개발로 상용화를 뒷받침하기 위해 1조1000억원을 투입한다. 2022년까지 시스템반도체 인재 4000여명 발굴 목표도 세웠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차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를 열고 미래 차·시스템반도체·바이오헬스 등 이른바 '빅3'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성과 창출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홍 부총리는 미래 차 선도하기 위해 "올해는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의 3단계(레벨3) 자율주행기술 적용 승용차 출시와 더불어 4단계 자율주행 개발 경쟁이 본격화될 것"며 "자율주행 4단계(레벨4) 상용화를 위해 핵심기술 개발에 1조1000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세부적으로는 라이다 등 센서, 통신기술 등 레벨4 핵심기술 개발을 위해 총 84개의 세부과제가 선정됐다. 또 레벨3 자율주행 중요 기능을 담당하는 9대 핵심 부품 국산화와 후속 사업화도 추진한다. 

그는 "현장에서 라이다 등 핵심부품 개발이 시급하고,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고도화를 요구한다"며 "교통상황 변화 등 다양한 데이터 접근과 자율주행 체감서비스 창출의 시급성 등을 제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 레벨4 이상의 성능시험을 위한 가혹환경 재현시설 및 지역테스트베드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 자율차 센서의 감지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경부고속도로와 수도권 국도를 중심으로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 1200㎞ 가량도 구축한다. 2025년까지 총 3만㎞의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목표다.

C-ITS는 차량과 차량, 차량과 도로 간 통신하며 실시간 공유와 사전 대응이 가능한 통신 인프라이다. 정부는 세종시에 C-ITS 통합관리센터를 마련하고 레벨4 자율차 출시에 필요한 안전 기준을 마련하는 한편, 보험체계 연구도 착수한다.

세종·서울·대구 등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6곳에서 순환셔틀·로봇택시·공항 픽업 등 실증사업을 본격화한다. 이와 연계해 교통약자 이동지원, 자율주행 공유차 등 7대 자율주행 공공서비스를 개발하고 실증을 추진할 방침이다.

시스템 반도체 인력 양성계획에도 박차를 가한다. 앞서 정부는 2030년까지 시스템 반도체 인력 1만7000명을 양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팹리스 연계형 설계 전공 트랙, 채용연계형 계약학과를 신설하고 내년까지 실습형 전문학사 등 학사급 인력을 1120명 양성한다. 올해 520명, 내년 600명을 각각 배출할 계획이다. 

이 기간 석박사급의 핵심인재는 약 1000명을 배출하는 것이 목표다. 기업과 정부가 1대1 매칭 등을 통해 ▲핵심 기술개발 ▲고급인력 양성 ▲채용 연계의 1석 3조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실전형 석박사급 전문인력은 420명을 양성한다. 산학연계 기반의 차세대 인력을 2022년까지 373명, 파운드리 소재·부품·장비 전문인력도 2022년까지 165명을 추가 양성할 예정이다. 총 3638명의 인재를 발굴하는 것이 목표다. 

또 반도체설계교육센터(IDEC), 설계지원센터 등을 통한 단기교육을 제공해 실무 인재 1560명을 교육하는 것이 목표다. 

이와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과정의 경험을 바탕으로 신(新)의료제품의 개발·승인·생산 절차를 최대한 신속히 진행하는 데 중점을 두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