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진=뉴시스/조선중앙TV 캡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진=뉴시스/조선중앙TV 캡처)

[뉴시안=기영노 편집위원] 대통령들은 힘이 세다.

독일 총통 아돌프 히틀러는 2차 대전을 일으켜 600여 만 명의 유태인과 그 열 배에 이르는 6000여 만 명 가량의 군인과 민간인을 사망케 했고, 존 F. 케네디(구 소련의 후루시초프)는 쿠바 봉쇄로 3차 세계대전을 막아 수억 명의 생명을 구했다.

넬슨 만델라는 남아공의 인종차별정책 ‘아파르트헤이트 시대(the Apartheid era)를 ‘용서와 화해’로 풀어냈고, 군부독재의 상징 전두환은 86, 88 때 스포츠 장려정책으로 체육인들로부터는 크게 미움을 받지 않고 있다.

리처드 닉슨과 마오쩌둥은 탁구를 매개로 냉전 관계의 미국과 중국(공)의 관계를 녹여내 인류 평화에 막대한 기여를 했고, 조지 웨아는 축구에서 얻은 명성을 바탕으로 스포츠인 최초로 라이베리아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대통령도 인간이다.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와 영국 총리 보리스 존슨은 ‘코로나 19’에 감염되었다가 회복되었고, 일본의 아베 총리와 김영삼 대통령은 골프를 치다가 엉덩방아를 찧는 촌극을 벌였고,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은 세상에서 가장 슬픈 병인 알츠하이머를 앓다가 사망했다.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은 자신이 임명한 검찰총장과의 힘겨루기에서 밀리기도 했다.

스포츠는 그 나라 대통령들의 관심, 그리고 정책 변화에 따라 활성화 되거나, 침체되곤 했었다.

지구촌의 현역, 역대 대통령(수상)들은 그동안 어떠한 스포츠 정책을 폈었고, 그래서 그 나라의 스포츠는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알아보았다.

<이 연재물은 기자(시간의 물레 간 2013년, 대통령과 스포츠)의 저서를 보강한 것이다>

 

김정은, 스포츠를 체제 유지에 매우 적극적으로 이용

지난 11일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날(10일) 열린 8차 당 대회 6일 차 회의 당 중앙지도기관 선거를 통해 조선노동당 총비서로 추대됐다고 보도했다.

그에 따라 김정은의 당내 공식 직함은 집권 초기 제1비서에서 2016년 위원장, 이번에는 총비서로 계속해서 상승했다.

그의 아버지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부여했던 정치적 상징인 ‘총비서’ 직책을 김정은 위원장이 맡음으로써 노동당의 권력을 모두 거머쥔 북한의 최고지도자임을 명확히 한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은 할아버지 김일성은 물론 농구광이기도 했었던 아버지 김정일보다 체제 선전에 스포츠의 비중을 더 높이고 있다.

북한 스포츠의 기조(基調)인 ‘선택과 집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가성비가 높은 체육정책을 선호하고 있는 것이다.

김정은이 벤치마킹을 한 것은 ‘머니 볼’ 그러니까 예산을 적게(적은 비용) 투자해서 좋은 성과(높은 효율)를 올리는 것을 목표로 했다고 볼 수 있다.

김정은은 정권을 잡은 지 1년이 채 되지 않아 “북한 전역에 체육 열풍을 불게 하라”고 직접 지시를 하는 등 아버지 김정일, 할아버지 김일성을 능가하는 ‘체육 굴기’를 노골적으로 내세우고 있다.

김정은은 2012년 ‘국가체육지도위원회’를 신설했는데, 국자체육지도자위원회는 한국의 스포츠과학연구소에 해당하는 기구다. 여기서 북한 체육의 과학화는 물론 엘리트 선수를 효과적으로 양성하기 위해서 지속해서 연구를 하도록 지시를 했다.

김정은 정권, 아버지, 할아버지 때보다 국제대회 성적 좋아

김정은이 정권을 잡은 이후 북한 체육은 아버지 김정은, 할아버지 김일성 때보다 훨씬 좋은 성적을 올리고 있다.

2012 런던 올림픽에는 레슬링 역도 등 11개 종목 56명의 선수가 출전해서 금메달 4개를 따내며 종합 20위에 올랐고, 2013년 동아시아축구대회, 2014 인천 아시안게임과 브라질 월드컵 아시아지역 예선 그리고 2018 평창 동계올림픽과 자카르타 팔렘방 아시안게임 등 메이저대회에 빠짐없이 선수들을 파견하면서 대외적으로는 북한 체제를 선전하고, 대내적으로는 ‘애국사업으로 승격’된 체육사업을 알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과거 김일성과 김정일도 크고 작은 국제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올리면 인민체육인, 공훈체육인 등의 호칭을 붙여 주면서 보상을 해왔으나, 김정은은 체육인들을 선대(先代)들 보다 훨씬 우대(優待)를 해줘서 북한에서는 ‘이러다 평양에 체육인 거리가 생길지도 모른다’는 말까지 나돌고 있는 형편이다.

더욱 파격적인 것은 지난 2013년 평양시에 ‘평양국제축구학교’를 만들도록 지시를 한 것이다. 폐쇄적인 사회인 북한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사업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학교만 세운 것이 아니라 유망주를 유럽으로 유학까지 보내고 있다.

한광성 등 해외파 많아져

대표적인 선수가 2017년 이탈리아 세리에 A리그 페루자에 진출한 한광성 선수다.

비록 세리에 B리그에 속해 있었지만, 미남형의 얼굴에, 천부적인 축구 감각 그리고 밸런스를 잘 유지하면서 해트트릭도 기록했었고, 2경기 연속골을 넣는 등 가능성을 보였었다.

한광성 선수는 2015년 가디언이 선정한 세계축구 유망주 50명 안에 남한의 이승우 선수와 함께 포함되었었고, 연봉 160만 유로(20억원) 이상을 받고 있는데, 현지에서의 생활비 200만원정도 만 빼 놓고 모두 북한으로 송금을 했다.

한광성은 이탈리아 세리에 A 유벤투수 FC(23)팀이 속해 있다가 500만 유로의 이적료로 카타르의 알 두하일 FC로 이적했다. 그리고 지난해 9월 15일 팀에서 방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방출된 이유는 북한 국적 해외 노동자를 일괄 추방토록 규정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때문이었다.

이제 한광성은 해외 축구선수 활동을 더 이상 할 수 없게 될 것 같다.

북한에는 한광성 선수 외에도 스위스 루체른 팀을 거쳐 현재 리명수 체육단에 속해 있는 정일관, 유럽 프로축구 리그에서 오스트리아 구단 소속으로 활약하다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에 따라 오스트리아에서 노동허가를 받지 못해 방출된 박광룡, 2016년 북한 축구선수로는 최초로 이탈리아 세리에 A에 진출했었던 최성혁(전 US 아레초), 북한 최고의 수비수 리영직(일본 FC 류쿠), 김성기(일본 비셀 고베) 등의 해외파들이 있어서 국제게임이 있으면 북한의 국가대표로 합류한다.

전 인천 유나이티드 팀의 노르웨이 출신의 욘 안데르센 감독은 지난 2016년 5월부터 2018년 3월까지 20개월 동안 북한 축구대표팀을 맡았었다.

욘 안데르센 감독은 “만약 유엔과 미국의 제재가 없었다면 북한축구 대표팀을 계속해서 맡았을 것이다. 북한에 있을 때 평양에 있는 호텔에 머물렀었는데, 연봉도 잘 나왔고 훈련 여건도 나쁘지 않았다. 김정은의 관심도 매우 커서 선수들의 사기가 매우 높았었다”라고 회고하기도 했다.

그러나 안데르센 감독은 북한에 대한 유엔과 미국의 제대로 달러 수급이 잘 안 되어, 연봉 지급이 어려워지면서 북한을 떠나 한국 프로축구 인천 유나이티드 팀을 맡았었다.

(김정은 편은 다음 주에 계속)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