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제6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제6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뉴시안= 조현선 기자]정부가 경기·경남·전북·충남·충북 등 전국 5곳을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특화단지'로 새로 지정했다. 글로벌 공급망을 주도하겠다는 목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6일 '제6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지정안'을 심의·의결했다.

이번 지정안은 지난해 4월 전면 개편된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과 같은해 7월 발표한 '소부장 2.0 전략'에 근거한다.

정부는 경기(반도체), 경남(정밀기계), 전북(탄소소재), 충남(디스플레이), 충북(이차전지) 등 5곳에 대해 단지별 협의회를 구성한다. 협의회는 지역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지원 전략을 수립하고, 범부처 차원의 지원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소부장 클러스터를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정부는 공모를 통해 총 12개 단지의 신청을 받았다. 이후 두 차례의 전문가 평가 위원회, 민·관 합동 전략 컨설팅을 거쳐 5개 단지를 추려냈다.

이번에 선정된 단지는 '소부장 특별법'상 5가지 특화 단지를 지정 요건을 충족했다는 평가다. 여기에는 ▲소부장 산업 집적·경쟁력 강화 ▲기반시설 확보 ▲지역 주요 산업과 연계 발전 가능성 ▲전문 인력 확보 ▲지자체 도시·산업 계획과 연계 등이 포함됐다.

산업부 관계자는 "6대 주력 산업, 100대 핵심 전략 기술에 특화돼 전략적 육성이 시급한 단지"라며 "글로벌 소재·부품·장비 클러스터로의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은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날 위원회는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 사업 모델 4건도 승인했다. 산업부는 수요·공급기업의 협업을 통한 소재·부품·장비 기술 개발과 사업화를 지원해오고 있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 22건의 협력 모델을 승인한 바 있다.

이번에 승인된 사업 품목은 ▲미래차 통신용 송수신 소재·부품 ▲바이오·의료용 타이타늄 소재 ▲전기차 인버터용 시스템 반도체 등이다. 또한 대·중소기업 상생협의회에서는 이차전지 전극단자 소재를 상생 모델로 제안했다.

수요·공급기업들은 사업화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해외 인수합병(M&A) 성과를 활용하고 수요기업의 기술 로드맵을 공유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공공연구기관의 전문 인력 파견, 공용 테스트 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협력 방식을 제안했다. 정부는 4년간 약 600억원 규모의 R&D를 지원하게 된다. 설비 투자를 위해 80억원 규모의 정책금융 등을 활용하고, 인력·인프라, 규제 특례 등 맞춤형 패키지 지원도 제공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이번 협력모델 4개를 통해 2025년까지 약 1500명의 고용과 1조원 이상의 신규 투자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사업 재편, 글로벌 협력 등 새로운 구조의 소재·부품·장비 협력 모델을 발굴하겠다"며 "산업 분야 '연대와 협력'의 대표적인 지원 제도로 확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