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 (사진=쿠팡)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 (사진=쿠팡)

[뉴시안= 박은정 기자]국내 전자상거래(이머커스) 업계 선두권을 달리고 있는 쿠팡이 미국 증시 상장을 공식화했다. 쿠팡은 미국 증시 데뷔 무대로 나스닥이 아닌 뉴욕증권거래소(NYSE)를 선택했다. 이를 두고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쿠팡은 지난 12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클래스A 보통주 상장을 위한 신고서를 제출했다. 쿠팡은 보통주를 뉴욕증권거래소에 종목 코드 'CNPG'로 상장할 계획이다. 상장될 보통주 수량과 공모 가격 범위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약 3월 중 상장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상장 후 쿠팡의 시장가치는 최대 500억 달러(약 55조원)으로 예측했다. 이는 2014년 알리바바그룹의 뉴욕증시 상장(약 186조원) 이후 최대 규모의 아시아 IPO다.

이번에 쿠팡이 신고서를 제출하면서 쿠팡의 실적이 공개됐다. 쿠팡의 지난해 매출은 119억7000만 달러(13조2500억원)다. 전년(7조1000억원) 대비 약 91% 급등했다. 영업적자 규모도 2019년 6억4384만 달러(7100억원)에서 지난해 5억2773만 달러(5800억원)으로 줄어들었다.

쿠팡의 급성장 요인 중 하나로는 코로나19가 꼽힌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외출을 할 수 없는 소비자들이 쿠팡의 로켓배송, 새벽배송 등을 이용한 것이다. 실제로 한 번이라도 쿠팡에서 제품을 구입한 적이 있는 활성 고객이 지난해 4분기 기준, 1480만명으로 집계됐다. 국내 인터넷 쇼핑 인구 3분의 1가량이 쿠팡을 이용한 셈이다.

쿠팡이 한국이 아닌 미국 시장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 업계에서는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의 경영권 강화를 위한 전략으로 풀이하고 있다. 

뉴욕 증시에 상장되는 쿠팡 주식은 클래스A 보통주와 클래스B 보통주로 나뉜다. 클래스B는 클래스A 대비 주당 29표의 의결권을 갖는 차등의결권주로, 1%만 가져도 29%의 주주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클래스B 주식은 김 의장만 보유한다. 이에 김 의장이 2%의 지분만 갖고 있어도 29배에 해당하는 58%의 지분행사가 가능해 경영권을 유지할 수 있게된다. 차등의결권은 국내 시장에 없는 제도다.

또 당초 쿠팡이 나스닥을 선택할 것이라는 예측과 달리 뉴욕증권거래소를 최종 선택했다. 뉴욕증권거래소가 진입자벽이 나스닥보다 까다롭지만 코로나19로 매출이 급증하면서 흑자전환에 대한 어느 정도 자신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쿠팡은 신고서에서 "자사 배송 기사인 쿠팡맨과 직원들에게 최대 1000억원 규모의 주식을 보너스로 제공하고 오는 2025년까지 5만명을 신규 고용하겠다"라는 계획도 밝혔다.

쿠팡의 미국 증시 도전 소식에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도 축하 인사를 전했다.

홍 부총리는 14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쿠팡이 미국 증시에 상장된다면 우리나라 유니콘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이번 쿠팡의 미국 증시 상장 추진을 계기로 벤처투자 활성화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되새겨본다"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정부도 재정‧금융 지원 확대, 일반지주회사의 벤처캐피탈(CVC) 보유 제한적 허용 등 제도 정비, 복수의결권 도입 추진 등을 통해 벤처기업 성장을 뒷받침해왔다"며 "포스트코로나 시대 혁신의 중요성이 과거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정부는 벤처‧창업 생태계 강화 등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