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아흐마디네자드 전 대통령. (사진=뉴시스)
마흐무드 아흐마디네자드 전 이란 대통령. (사진=뉴시스)

[뉴시안=기영노 편집위원] 대통령들은 힘은 막강하다. 그 강한 힘을 가진 최고의 권력자임은 역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독일 총통 아돌프 히틀러는 2차 대전을 일으켜 600여 만 명의 유태인과 그 열 배에 이르는 6000여 만 명 가량의 군인과 민간인을 사망케 했고, 존 F. 케네디(구 소련의 후루시초프)는 쿠바 봉쇄로 3차 세계대전을 막아 수억 명의 생명을 구했다.

넬슨 만델라는 남아공의 인종차별정책 ‘아파르트헤이트 시대(the Apartheid era)를 ‘용서와 화해’로 풀어냈고, 군부독재의 상징 전두환은 86, 88 때 스포츠 장려정책으로 체육인들로부터는 크게 미움을 받지 않고 있다.

리처드 닉슨과 마오쩌둥은 탁구를 매개로 냉전 관계의 미국과 중국(공)의 관계를 녹여내 인류 평화에 막대한 기여를 했고, 조지 웨아는 축구에서 얻은 명성을 바탕으로 스포츠인 최초로 라이베리아 대통령에 당선됐다.

대통령도 인간이다.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와 영국 총리 보리스 존슨은 ‘코로나 19’에 감염되었다가 회복됐다. 일본의 아베 총리와 김영삼 대통령은 골프를 치다가 엉덩방아를 찧는 촌극을 벌였고,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은 세상에서 가장 슬픈 병인 알츠하이머를 앓다가 사망했다.

스포츠는 그 나라 대통령들의 관심, 그리고 정책 변화에 따라 활성화 되거나, 침체되곤 했다.

지구촌의 현역, 역대 대통령(수상)들은 그동안 어떠한 스포츠 정책을 폈고, 그 나라의 스포츠는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알아보았다.

<이 연재물은 기자(시간의 물레 간 2013년, 대통령과 스포츠)의 저서를 보강한 것이다>

◆ “축구장 여성과 가족들 위한 특별석 만들라”

여성도 재미있는 축구 경기를 관전할 자격이 있다.

마흐무드 아흐마디네자드 전 이란 대통령은 입만 열었다 하면 화제를 모았다.

마흐무드 대통령은 서방권 옷차림이라는 이유로 이란의 다른 세속 정치인들과 마찬가지로 넥타이를 매지 않았다. 항상 깔끔한 정장을 차려입고 대중 앞에 섰고, 작고 호리호리한 체구로 인해 단아한 인상을 풍기지만 입을 열었다 하면 이스라엘과 미국을 긴장시키곤 했다.

“이스라엘은 지도상에서 없어져야 한다”

“홀로코스트는 거짓 신화다”

“미국은 평화의 수호자가 아니라 전쟁의 수호자다”

그러한 마흐무드 대통령을 유대인들은 “유대인들의 상처도 모르는 돼먹지 못한 인간”이라고 했다.

그의 돌출 발언은 급기야 국제축구계에서 이란 축구 대표 팀을 월드컵에서 추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게 했다.

그러자 당시 국제축구연맹 즉 FIFA의 대변인 안드레스 허렌은 “정치와 스포츠는 엄격히 분리되어야 한다, 이란의 정치인이 한 발언은 국제사회가 대처할 문제”라며 “이란축구협회가 잘못한 것은 없다. FIFA는 이런 논쟁에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공식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또한 열렬한 축구팬인 영국의 잭 스트로 외무장관은 FIFA의 입장을 지지하면서 “이란 축구팀을 배제하는 조처를 한다면, 결국 아무 변화도 가져오지 못하면서 독재자의 죄에 대해 일반인을 처벌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마흐무드 대통령의 축구에 대한 지극한 사랑은 세계가 알아주는 수준이었다.

그는 ‘여성의 축구장 입장 허가’ 방침을 천명했다.

그는 “축구장에 여성과 가족들이 편안하게 관전할 수 있는 특별석을 만들라”며 지시를 하면서 논란이 시작됐다.

이란에서 열혈 여성 축구 팬이 남장을 하고 경기장에 들어 올 필요를 없게 한 것이다. 하지만 이슬람 고위 성직자들은 대통령의 이 같은 결정에 강하게 반발했다. 여성의 축구장 입장허가는 ‘여성이 다른 남자의 맨살을 보면 안 된다’는 이슬람 율법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란 여성의 축구장 입장은 그가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고 6년 여가 지난 2019년 10월 11일 이란 남자축구 대표팀 대 캄보디아의 경기부터 시작됐다.

이란 테헤란 아자디스타디움에서 열린 2022년 카타르 월드컵 아시아 2차 예선 C조 2차전에서 이란은 캄보디아를 14-0으로 대파했다. 그 경기장에는 약 4000명의 이란 여성 축구 팬들이 찾았다. 이란에서 여성이 축구장에 입장한 건 1981년 이후 38년 만이었다. 이란은 1979년 이슬람 혁명을 계기로 여성들의 축구장 입장을 허락하지 않았다.

◆ 홈에서는 브라질에게도 패해서는 안 된다

마흐무드 대통령이 이란 축구 대표팀 훈련장에 격려차 방문할 때는 형식적으로 코치진 진과 선수들을 만나는 게 아니라 대표 팀 유니폼을 빌려 입고 축구 볼을 직접 차보는 것으로 유명했다. 그리고 실제 축구 실력도 뛰어나다. 드리블, 패스, 슈팅 등 축구의 기본동작을 정확하게 구사했다.

그는 축구가 이란 국민들의 사기를 돋우는데 크게 기여한다고 주장했다.

“원정 경기에서는 가끔 실수를 할 수도 있지만 10만여 명이 열렬히 응원해주는 홈(아자디 스타디움)에서 패하는 것은 이해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란의 홈구장에서 외국팀이 이기는 것은 마치 ‘낙타가 바늘구멍 통과하기’만큼 어렵다는 것이 국제축구계의 통설이다.

가장 큰 희생자가 한국축구다.

한국 축구는 2014년 10월 17일 이란 테헤란의 아자디스타디움에서 열린 2014 브라질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A조 4차전에서 후반 29분 자바드 네쿠남에게 결승골을 내줘 0-1로 패했다.

한국은 그 경기 전까지 이란과 25전 9승7무9패를 기록하며 상대 전적에서 전혀 밀리지 않았다. 그러나 지난 1974년 9월 11일 치른 첫 원정경기에서 패배한 이후 한국은 38년 동안 단 한 번도 이란의 안방에서 승리를 따내지 못했다. 역대 원정 전적은 2무2패. 그 경기에서 패하면서 2무3패가 됐다.

이란 원정이란 한국에 있어 그야말로 지옥이나 다름없다.

이란은 아자디 구장에서 외국팀과의 A 매치에서 47전 35승10무2패의 엄청난 승률을 올리고 있다.

축구 왕국 브라질과 축구 종주국 영국을 제외하고는 홈에서 그렇게 높은 승률을 올린 나라는 거의 없다.

이란이 아자디 구장에서 당한 2패도 사우디아라비아와 독일에만 방심하다 패했을 뿐이다.

◆ 이란의 대통령제도, 직접선거 임기 4년 재임 가능

이란 대통령은 직접선거로 선출되고 임기는 4년이다. 중임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 8년간 재임할 수 있다.

이란 내에서 대표적인 보수 강경파인 마흐무드 대통령은 이란의 9,10대 대통령으로 2005년 8월 3일 대통령직을 수행하기 시작해서 4년간 재임했고, 2009년 8월 5일 재임에 성공해 2013년 8월3일까지 8년간 재임했다. 1956년생으로 올해 나이 65살이고, 키는 1m57cm로 세계 남자 대통령 가운데 가장 키가 작은 것으로 유명했다. 대통령이 되기 전에 테헤란 시장을 지냈다.

현 대통령은 하산 로하니로 2013년 8월3일부터 대통령직을 수행하기 시작해, 2017년 8월 5일 재임에 성공했고, 2021년 8월 5일까지 약 4개월 여를 남겨놓고 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