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전 대표(왼쪽)와 조응천 의원(사진=뉴시스)

[뉴시안=소종섭 편집위원]4.7 재보궐 선거에서의 참패 이후 여권은 어수선하다. 민심을 겸허하게 수용하겠다면 자세를 낮췄다. 겉으로는 발 빠르게 움직이는 모양새다. 김태년 원내대표 등 민주당 지도부가 총사퇴하고 4월 16일 원내대표 선거, 5월 2일 당대표 선거를 치르기로 했다. 도종환 의원이 일주일 임기 비대위원장을 맡았다. 그러나 이번 선거의 참패 원인에 대한 분석과 향후 대책에 대해서는 저마다 다른 의견을 내놓고 있다. 진단과 처방이 다르다. 이 문제는 향후 여권 내 갈등의 불씨가 될 수 있다.

크게 두 갈래다. 하나는 개혁 작업을 더 속도감 있게, 강하게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지난 총선에서 국민이 준 거대 의석을 갖고 개혁을 제대로 하지 못했기에 국민이 회초리를 든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런 주장은 언론 환경에 대한 불만과도 결부돼 있다. 언론 지형이 여권에 불리하게 형성돼 있어 언론 개혁이 필요하다는 논리다. 언론이 야권에는 부드럽고 여권에는 단호한 잣대를 들이댄다는 것이다. 기존 정책 노선을 수정하기보다 오히려 더 확실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쪽이다. 주로 친문 주류 세력 쪽에 있는 인물들이 이런 주장을 내놓고 있다. 

몇몇 사례를 살펴보자. 이낙연 전 대표는 지난 6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내곡동 얘기는 중요한데, 이걸 너무 쉽게 생각하는 것 같다. 언론들의 보도 태도도 한번은 검증대상이 될 것이다. 지나치다”고 말했다. 김용민 의원은 “우리 사회에서 가장 불공정한 기관은 검찰이다. 가장 부패한 집단이니 우리 사회의 만연한 불공정을 검찰이 나서서 해결할 수가 없는 것이다. 검찰을 개혁해야 한다. 불공정을 확산시키는 언론도 제자리로 돌려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열린민주당의 최강욱 대표도 “검찰개혁과 언론개혁은 분리될 수 없는 시대적 과제. 반드시 끝장을 보겠다”고 말했다.

여권 내에는 이에 맞서는 또 다른 주장이 있다. 노선을 바꾸고 인물을 혁신하는 쇄신을 해야 내년 대선을 치를 수 있다는 주장이다. 중도 통합적으로 쪽으로 노선을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번 선거 결과가 기존 노선과 인물에 대한 평가 성격이 있다고 본다. 곧 친문 주류 세력은 이제 물러나야 한다는 주장으로 연결된다. 대표적인 인물이 조응천 의원이다. 

조 의원은 지난 8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우리 당이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데 상당한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은 가급적 이번 당내 선거에 나서지 않으시기를 바란다”는 글을 올렸다. “출마 선언을 하실 때는 그간의 언행 중 부정적 평가를 받을 만한 부분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솔직하고 구체적으로 먼저 밝히라”는 요구도 했다. 김해영 전 의원도 비슷하다. 그는 “민주당이 제대로 된 성찰과 혁신을 위해서는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다. 바로 ‘조국 사태’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전 검찰총장 문제, 그리고 부동산 실책이다. 조 전 장관 임명에 대한 반대 여론이 높아지자 전전긍긍하던 지도부와 일부 의원들이 어느 날 ‘조국 반대’는 ‘검찰 개혁 반대’이고 이는 ‘적폐 세력’이라는 이상한 프레임을 가지고 나왔다. 지금이라도 조 전 장관 사태에서 그러한 분열을 야기한 주된 책임이 있는 사람의 진정성 있는 반성이 필요하다”고 비판했다.

여권의 방향을 둘러싼 이러한 두 갈래 주장이 향후 전면적인 노선 투쟁으로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 문재인 대통령 그리고 유력 대선 주자인 이재명 경기도지사 등이 어떤 태도를 보일지도 변수다. 일차적으로는 원내대표 선거와 전당대회를 통해 어떤 인물들이 지도부에 입성하는지가 관전 포인트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