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라트 헤르만 요제프 아데나워 독일연방공화국 (구 서독)의 초대 총리 생전 모습(오른쪽). 콘라드아데나워재단 홈페이지 사진캡쳐.

[뉴시안= 기영노 편집위원] 대통령들의 힘은 막강하다. 그 강한 힘을 가진 최고의 권력자임은 역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독일 총통 아돌프 히틀러는 2차 대전을 일으켜 600여 만 명의 유태인과 그 열 배에 이르는 6000여 만 명 가량의 군인과 민간인을 사망케 했고, 존 F. 케네디(구 소련의 후루시초프)는 쿠바 봉쇄로 3차 세계대전을 막아 수억 명의 생명을 구했다.

넬슨 만델라는 남아공의 인종차별정책 ‘아파르트헤이트 시대(the Apartheid era)를 ‘용서와 화해’로 풀어냈고, 군부독재의 상징 전두환은 86, 88 때 스포츠 장려정책으로 체육인들로부터는 크게 미움을 받지 않고 있다.

리처드 닉슨과 마오쩌둥은 탁구를 매개로 냉전 관계의 미국과 중국(공)의 관계를 녹여내 인류 평화에 막대한 기여를 했고, 조지 웨아는 축구에서 얻은 명성을 바탕으로 스포츠인 최초로 라이베리아 대통령에 당선됐다.

대통령도 인간이다.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와 영국 총리 보리스 존슨은 ‘코로나 19’에 감염되었다가 회복됐다. 일본의 아베 총리와 김영삼 대통령은 골프를 치다가 엉덩방아를 찧는 촌극을 벌였고,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은 세상에서 가장 슬픈 병인 알츠하이머를 앓다가 사망했다.

스포츠는 그 나라 대통령들의 관심, 그리고 정책 변화에 따라 활성화 되거나, 침체되곤 했다. 지구촌의 현역, 역대 대통령(수상)들은 그동안 어떠한 스포츠 정책을 폈고, 그 나라의 스포츠는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알아보았다. <이 연재물은 기자(시간의 물레 간 2013년, 대통령과 스포츠)의 저서를 보강한 것이다>

◆ 아데나워, 1955년부터 청소년 체육정책 세워

독일은 세계에서 사회체육제도가 가장 발달되어 있는 나라다.

‘골든 플랜’으로 대변되는 독일 사회체육은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집에서 10분 거리에 운동을 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다.

독일의 사회체육이 이 같이 탄탄한 조직을 갖게 된 것은 콘라트 아데나워 총리 때문이다.

아데나워 총리는 1955년 “독일의 청소년 체육교육이 더 이상 뒷전으로 밀려나서는 안 된다. 성장하는 세대에 대한 관심을 문화적, 사회적, 시민적 과제로 인식해야 한다”고 선언하고는 청소년을 위한 체육정책을 세워나가기 시작했다.

독일은 당시 2차 세계대전의 패전 국가로 온 국민이 깊은 시름에 빠져 있었다.

아데나워는 독일이 2차 세계대전의 폐허를 딛고 모든 에너지를 국가재건에 쏟아 붓던 시절에도 청소년들을 비롯한 성인들의 체력 향상이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판단 한 것이다.

독일 의회[사진=plxabay]
독일 의회[사진=plxabay]

아데나워의 체육정책으로 인해서 체육계에서는 2차 세계대전 여파로 아직도 파괴된 건물이 상흔처럼 남아 있던 시절에 체육관 1만개와 수영장 700개를 지어야 한다고 주장 했다.

모든 학교는 탈의실과 샤워 실을 갖춘 체육관을 갖추고, 학생 뿐 만 아니라 방과 후나 주말에는 주민들에게 개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독일 올림픽위원회는 아데나워의 그 같은 정책을 바탕으로 1959년 자신의 집에서 10분 거리에 체육관을 지어서 주민 들이 어디서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골든 플랜’을 수립했다.

◆ 독일의 자랑 골든 플랜

독일의 사회체육은 골든 플랜에 따라서 국민들 속으로 파고들었다.

동, 서독 통일 후에는 동독으로 까지 퍼져 나갔다.

그의 위대한 결단이 독일 국민들이 세계에서 가장 탄탄한 체력을 갖은 국민이 되게 한 것이다.

아데나워 총리는 1876년 1월5일 태어나 1949년 독일연방공화국 첫 번째 총리가 되었다.

그는 1963년까지 14년 동안 총리로 재직하면서 ‘라인 강의 기적’을 만들었고, 사회체육도 앞서 언급한 ‘골든 플랜’을 바탕으로 모든 국민이 건강하게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대부분의 독일 국민들은 집에서 걸어서 10분 거리에 있는 체육시설을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해 운동을 한다.

독일의 스포츠클럽은 원칙적으로 자립적 성격을 가진 조직이다.

콘라드 아데나워(Konrad Adenauer)재단 홈페이지 사진캡쳐.<br>
콘라드 아데나워(Konrad Adenauer)재단 홈페이지 사진캡쳐.

모든 체육시설은 회원들이 회비를 내서 운영한다. 실제 재무구조를 보면 회비(54.7%), 사업이익금(24.8%), 국가보조(10.7%), 기부금(7.3%), 기타(2.5%) 순이다.

회비의 비중이 매우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포츠클럽은 재정적으로 곤란을 겪지 않는다. 무급 자원봉사들이 코치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큰 힘이 되고, 국가에서 보이지 않게 지원해 주는 것들도 많다.

체육관 등의 체육시설에서 간혹 독일사회체육의 아버지라고 할 수 있는 아데나워 흉상을 볼 수도 있다.

직장인들은 오후 4~5시 경 퇴근을 한 후에는 바로 가까운 체육시설을 찾아서 운동을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2~3시간 운동을 한 후 시원한 맥주를 마시며 담소를 나누다가 집으로 돌아간다.

독일 국민들의 40퍼센트에 해당되는 3000여만 명이 9만 여개의 스포츠 시설을 이용해서 수영, 농구, 배구, 배드민턴, 축구 등의 운동을 하고 있다.

독일의 올림픽 메달리스트나 분데스리그 선수들은 거의 모두 사회체육출신이다.

그들은 사회체육을 하다가 소질이 발견되어 엘리트 스포츠 쪽으로 방향을 틀게 되고, 은퇴를 한 후에는 다시 사회체육지도자로 돌아오는 선순환을 하고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