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의 '티빙(TVING)' 홈페이지 (사진=티빙 홈페이지 캡쳐)

[뉴시안= 조현선 기자]올해도 콘텐츠 사용료 갈등이 다시 불거졌다. 이번엔 IPTV를 운영하는 이동통신3사와 콘텐츠제공사업자(CP) CJ ENM간 신경전이다.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 IPTV 3사로 구성된 한국IPTV방송협회는 21일 '대형 콘텐츠 사업자는 불합리한 사용료 인상, 불공정 거래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CJ ENM의 콘텐츠 대가 인상 요구가 과도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CJ ENM은 같은 날 반박 입장을 내며 맞대응했다. 오히려 IPTV 업계가 그동안 저평가해 온 콘텐츠 공급가를 정상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의 갈등은 CJ ENM의 프로그램 사용료 인상안으로부터 시작됐다. CJ ENM이 이들 IPTV 3사에 프로그램 사용료 25% 인상안을 제시한 것이다. KT와 LG유플러스가 그간 IPTV에 따르는 추가적인 부가 서비스로 간주했던 KT 시즌, LG유플러스 모바일 등 이동통신사의 온라인동영상스트리밍서비스(OTT)를 타 업체와 같은 수준으로 새로 계약하겠다는 게 CJ ENM 입장이다.

기존 시즌, LG유플러스 모바일 등은 IPTV의 모바일 버전으로 인식됐을 뿐 하나의 플랫폼으로 셈하지 않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OTT 시장이 폭발적으로 커진 데에 따라 새로운 계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동통신 3사는 새로이 계약하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CJ ENM 측 인상안은 너무 하다는 입장이다. 협회는 성명문에서 "대형 콘텐츠 사업자는 플랫폼 사업자에게 전년 대비 25% 이상이라는 비상식적 수준의 콘텐츠 공급 대가 인상 시도를 중단하고, 합리적이고 타당한 수준의 협의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또 "유료방송 사업자의 신규 서비스인 태블릿 IPTV에 콘텐츠 공급 불가를 통보했다"면서 "패드(PAD) TV 콘텐츠 공급을 프로그램 사용료의 인상을 위한 협상카드로 활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CJ ENM은 이에 대해 "시청점유율 상승에 따른 당사 채널의 영향력과 제작비 상승 및 콘텐츠 투자 규모에 걸맞는 요구안을 가지고 협상을 진행 중"이라면서 "우리가 핵심적으로 문제 삼고 있는 부분은 IPTV 3사가 콘텐츠 가치를 지나치게 저평가하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OTT에 대한 콘텐츠 차별 제공 논란에 대해서는 "당사 채널의 실시간 방송과 VOD 등을 볼 수 있는 서비스를 KT와 LG유플러스가 운영 중인 OTT에 제공하고 있는데 이들이 운영 중인 OTT는 단순한 모바일 IPTV가 아닌 OTT 서비스"라며 "IPTV 외 해당 OTT를 이용하려면 월 사용요금을 내야 한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태블릿 IPTV에 대한 콘텐츠 공급을 방해하지 말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패드TV 등 IPTV 신기술 적용 서비스가 출시될 경우 콘텐츠 사업자에게 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사용료 협상을 하면 되는 사안"이라고 선을 그었다.

글로벌 OTT인 넷플릭스에 파격적인 수익을 분배해 주는 문제도 제기했다. 일부 IPTV사의 경우 OTT에게 파격적인 수익 배분을 해 주는 반면, 국내 방송사의 콘텐츠 평가에 여전히 인색하다는 주장이다. 

업계에서는 이같은 갈등이 지난해 CJ ENM이 자사 OTT 서비스인 티빙을 분사시키는 등 본격적으로 국내 OTT 시장 공략에 나서면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있다. 현재 국내 OTT 시장은 점유율 1위인 넷플릭스를 포함, 디즈니플러스의 국내 서비스 출시가 올 하반기로 예정돼 있어 전운이 감돌고 있다. CJ ENM은 앞으로 3년간 콘텐츠 제작을 위해 4000억원가량을 투입하는 등 국내 OTT 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내 OTT 업계가 방대한 콘텐츠를 가진 글로벌 OTT와의 경쟁에서 열세인 건 분명하다. CJ ENM이 저가의 프로그램 사용료는 방송사의 콘텐츠 투자 위축을 불러와 콘텐츠의 질이 하락할 것이라는 입장과 결을 같이 하는 분석이다. 이는 결국 플랫폼사 유료 가입자 이탈을 불러와 장기적으로는 유료방송산업의 경쟁력이 추락한다는 주장과도 이어진다.

어쨌든 당분간  CJ ENM과 IPTV 3사 간 갈등은 지속될 전망이다. 정부가 '방송 채널 대가산정 협의체'를 마련하고 유료방송 프로그램 사용료의 투명성 확보 및 시장 갈등 해소를 위해 나섰지만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아무리 협의체에서 기준을 정한다고 해도 기업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다시 도돌이표가 될 것이라는 우려에서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