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철 대통령비서실 민정비서관이 지난 2020년 1월 29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청와대 하명수사 및 선거개입 의혹 관련 수사를 받기 위해 출석해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뉴시스)

[뉴시안= 김진영 기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이광철 청와대 민정비서관 자택을 전격 압수수색해 향후 수사향방을 두고 여러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공수처 주변에서는 이번 압수수색을 통해 공수처가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불법 출국금지 수사외압 사건과 관련해 윗선 개입 의혹을 밝히기 위해 수사를 확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수사대상이 윗선으로 확대되면 경우에 따라 공수처가 여권 핵심부를 정면으로 겨냥하게 될 수도 있다는 추측도 나온다. 

공수처 수사3부(최석규 부장검사)는 20일 이 비서관 자택을 압수수색하고 청와대에도 임의제출 방식의 압수수색을 요청했다.

이규원 검사의 '윤중천 면담보고서' 허위 작성 의혹과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불법 출국금지 수사외압 의혹을 동시에 수사 중인 수사3부는 이 비서관이 면담보고서 작성에 가담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압수수색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동시에 김 전 차관 불법 출금 수사외압 의혹과 관련해 수사자료 확보 의도도 이번 압수수색에 포함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 수사팀은 지난 8일 이 검사와 함께 과거사진상조사단에서 일한 A 수사관의 사무실을 압수수색한 바 있다.  

수사팀은 이번에 확보한 자료와 함께 이 때 압수한 자료도 함께 살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치권 일부에서 공수처를 두고 유명무실하다거나 권력의 하수인이라는 비판이 많이 제기됐는데, 이를 의식한 공수처가 성역없는 수사를 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사정기관의 한 소식통은 이번 공수처의 이 비서관에 대한 압수수색과 관련해 “공수처가 압수수색이라는 강수를 둔 것은 면담보고서 허위 작성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윗선으로 수사를 확대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면담보고서 허위 작성 의혹의 고소인인 곽상도 국민의힘 의원은 김 전 차관 재수사를 '청와대발 기획사정'이라고 주장해왔다. 이에 공수처는 이 비서관을 시작으로 의혹 수사를 본격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수처는 이 검사를 3차례에 걸쳐 소환조사 한 바 있으나 수사는 진전되지 못했다. 이에 일부에서 ‘봐주기 수사 아니냐“며 공수처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며 ’역할론‘을 제기했다. 

이번 압수수색을 두고 이 같은 비판여론을 의식한 보여주기식 압수수색아니냐고 색안경을 끼고 보는 시각이 존재하는 이유다. 

이런 회의적인 시각에도 공수처는 원칙대로 조사한다는 입장이다.  

공수처는 이날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자료를 분석해 이 비서관이 보고서 작성에 얼마나 깊이 개입했는지 등을 살피고 있다. 이에 조만간 공수처가 의미있는 성과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공수처는 압수물 분석이 끝나는 대로 이 비서관을 소환조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공수처가 수사를 본격화 함에 따라 향후 조 전 장관 등에 대한 수사도 같이 진행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국민의힘은 조 전 장관 등이 불법 출금 수사 중단을 지시했다며 공수처에 고발한 적 있다.

한편 이 검사 사건은 지난 3월 서울중앙지검이 이첩해 4월 말 입건사건으로 사건번호 '공제 3호'가 부여됐다.  

‘윤중천 면담보고서 허위작성 의혹’은 이 비서관이 이 검사와 김 전 차관의 별장 성접대 의혹의 핵심 인물인 윤씨와의 면담보고서 내용 등을 왜곡하고 언론에 유출하는 과정에 개입했는지 여부를 밝히는 게 핵심이다. 

김 전 차관 불법 출금 수사외압 의혹은 수원지검이 공수처에 이첩한 사건이다.  

공수처는 5∼6월 순차적으로 검사 6명을 입건했지만, 소환조사 등 본격적인 수사에 돌입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사건으로 기소된 이성윤 서울고검장 공소장에는 당시 이 비서관을 시작으로 조국 전 법무부 장관→윤대진 전 검찰국장→이현철 전 안양지청장을 거쳐 불법 출금 수사가 중단됐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