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시안=유희준 기자]한국은행은 기조적 물가 상승률이 2%에 육박한 것으로 분석했다. 물가상승 압력이 일부 품목에 국한되지 않고 전반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의미다.

한국은행은 30일 '기조적 물가지표 점검' 보고서를 통해 기조적 물가의 오름세는 지난해 초 코로나19 충격의 영향으로 큰 폭으로 둔화됐다가 올해 3월을 기점으로 다시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기조적 물가 지표는 소비자물가에서 식료품, 에너지 등 변동성이 큰 교란요인의 영향을 제거한 것이다. 보통 중기 시계의 인플레이션 압력을 파악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대표적으로는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관리제외 근원물가'와 변동성이 큰 품목을 제외한 '조정평균물가', '경기민감 근원물가 변동' 등 6가지 기조적 물가지표를 평균해 산출한다. 단, 공식 통계는 아니다.

한은의 자체 집계 결과 기조적 물가 상승률은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지난해 1월 기준 1.4%(전년 동기 대비)였으나, 코로나19 확산을 계기로 같은 해 4월 0.6%까지 낮아졌다. 이어 올해 3월 1.2%부터 4월 1.6%, 5월1.6%, 6월 1.7% 등으로 빠르게 오르고 있다.

특히 7월 1.9%는 2017년 3월(1.9%) 이후 4년 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 4월 이후 소비자물가는 2%를 상회하며 높은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최근의 물가 오름세 확대는 농축산물 및 석유류 가격 상승과 지난해 유가 급락에 따른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기조적 물가지표는 교란 요인의 영향이 제거돼 있어, 소비자물가에 비해 변동성이 낮고 지속성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소비자물가와 기조적 물가를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다. 소비자 물가는 가장 낮았던 지난해 5월(-0.3%)과 가장 높았던 7월(2.6%)의 차이는 3%포인트에 육박했다. 그러나 기조적 물가의 경우 가장 낮았던 지난해 4월(0.6%)과 가장 높았던 올해 7월(1.9%)의 차이는 1.3%포인트에 불과했다. 소비자물가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많아 기조적물가에 비해 변동폭이 2배 이상 높았다.

최근 기조적 물가지표의 오름세 확대에 따라, 물가상승압력은 일부 품목에 국한되지 않고 전반적으로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회복에 기대인플레이션율의 상승으로 물가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는 탓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자체 계산 결과 대다수 기조적 물가지표에서 40% 내외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개인서비스 물가는 올들어 7개월간 2.5%나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소비자물가지수 개별품목물가 상승률 분포는 전반적으로 상향 이동, 올 7월 가중중위수물가 상승률(1.4%)은 지난해 4월(0.3%)에 비해 1.1%포인트 높아졌다. 물가상승품목의 비중을 나타내는 물가상승확산지수 또한 올 2분기 상승 전환됐다.

한은은 소비자물가 오름세는 공급측 영향 감소로 향후 점차 둔화될 것으로 봤다. 반면 향후 경제회복세가 이어지면서 물가에 파급되는 데 시차가 있는 것을 고려할 때, 기조적물가 내년에도 상승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놨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