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이 시험발사한 신형 장거리 순항미사일. 2021.09.13. (사진=노동신문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북한이 시험발사한 신형 장거리 순항미사일. (사진=노동신문 캡처/뉴시스)

[뉴시안= 김진영 기자]북한의 신형 장거리 순항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여러 분석과 관측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와 우리 군이 이를 사전에 탐지했는지 여부와 북한 측의 이 같은 움직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 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두고 여권은 “추석 전 일종의 행사처럼 반복돼 온 일”이라며 애써 큰 의미를 두지 않으려 하고 있다. 하지만 정치권 뿐만 아니라 군 당국 안팎에서 나오는 분석은 여권과 온도차가 있다. 
일단 청와대 소식통은 14일 “북한의 이번 이벤트는 대선을 앞둔 남한 상황을 정치적으로 계산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에 발사된 발사체가 어떤 것인지 정확한 것은 정밀 분석이 끝나봐야 알겠지만 지금 나오는 추측으로는 스커드미사일과 비슷한 종류일 것이라는 말이 들린다”고 밝혔다. 
앞서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13일 오전 "국방과학원은 11일과 12일 새로 개발한 신형 장거리순항미사일 시험 발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며 "발사된 장거리순항미사일들은 우리 국가의 영토와 영해 상공에 설정된 타원 및 8자형 비행궤도를 따라 7580초를 비행해 1500㎞ 계선의 표적을 명중했다"고 보도했다.
올해 들어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는 이번이 네 번째다. 사실이라면 북한 전역에서 서울뿐 아니라 중국 베이징, 일본 도쿄를 타격할 수 있다는 의미다.
북한은 앞서 지난 1월22일 평안북도 구성 일대에서, 3월21일 평얀북도 온천 일대에서 순항미사일 2발씩을 각각 발사했다. 3월25일에는 함경남도 함주 일대에서 신형 전술유도 지대지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바 있다.
합동참모본부를 비롯한 한미 군·정보 당국은 이번 발사체와 관련해 앞서 1월과 3월에 각각 발사한 지대함 순항미사일(KN-27)의 개량형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사거리를 늘린 지대지 순항미사일의 형태지만 자세한 것은 정밀분석 후에 알 수 있다는 게 청와대 측 설명이다. 
청와대 내부는 '왜 하필 이 시점에 북한이 이 같은 발사체를 쏘았느냐'를 분석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청와대 주변에서는 “북한이 여전히 남한의 대선 등 중요정치이슈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일종의 무력퍼포먼스 아니냐”고 풀이한다. 
북한이 지난 13일 발사한 미사일이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에 해당하는 고강도 도발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발사와 관련해 모종의 ‘반사이익’을 계산했을 것이라는 소리도 나온다. 
서훈 국가안보실장 주재의 별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긴급 상임위원회 소집은 없을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서 실장은 지난 3월25일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 개량형으로 추정되는 전술유도 지대지 탄도미사일 발사 당시 한 차례 긴급 NSC 상임위를 소집해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 검토 진행 중에 미사일 발사가 이뤄진 점에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는 메시지를 낸 바 있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북한이 순항미사일을 쏜 직후 "북한과의 대화, 관여, 외교가 시급하단 걸 잘 보여준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이날 공동기자회견에서 정 장관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관련 질문에 "한미 간 공조하에 북측의 의도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 정 장관은 "지난 3월에 이어 6개월 만에 순항미사일을 발사한 것과 같이 (북한의) 핵미사일 활동이 재개된 건 이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북한과의 대화, 관여, 외교가 시급하단 걸 잘 보여준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북한이 남한 전역을 사정권에 둔 미사일을 발사했는데도 유감이나 우려조차 표명하지 않았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