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한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연기가 뿜어져 나오고 있다. (사진=AP/뉴시스)
중국의 한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연기가 뿜어져 나오고 있다. (사진=AP/뉴시스)

[뉴시안= 남정완 기자]중국 정부가 최근 중국 주요 지역에 전력 공급 제한 조치를 내리면서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이 현지 공장 가동을 중단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중국의 부동산 재벌 기업인 헝다의 파산 위기설이 제기되며 경제계 안팎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 경제의 진짜 위기는 ‘헝다’가 아니라 ‘전력난’이라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의 전력난 사태로 중국에 생산공장을 둔 포스코, 현대차를 비롯한 한국 기업들과 애플, 테슬라 등 해외 기업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다. 특히 광둥성, 저장성, 장쑤성,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 등 산업용 전기 공급이 제한된 중국 10여 개 성에 있는 기업들은 직접적인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는 지난 17일부터 중국 장쑤성 장자강시에서 운영 중인 장가항포항불수강 공장 가동을 일부 중단했다. 이로 인해 제강·열연 공장 가동이 현재 중단된 상태다. 공장 가동 중단으로 하루 약 3000t의 생산 차질이 빚어지며 이달 말 기준 전체 감산 규모는 약 4만t 정도로 예상된다.

포스코 관계자는 “중국 강소성 정부는 철강, 시멘트, 유리 등 전력 사용량이 높은 산업군에 대해 전력 공급을 제한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강소성 내 철강기업들은 17일부터 가동을 일부 중단한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10월부터 정상 가동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연간 생산량에는 큰 차질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현대자동차와 LG화학, 삼성디스플레이 등도 현지 전력난이 길어질 것을 예상해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현대자동차 역시 중국 내 생산기지들이 전력 사용량을 제한받고 있지만, 현지 판매 감소로 이미 공장 일부만 가동하고 있어 당장 생산에 무리가 없는 상황이다. 현대차는 중국 내에 5개의 생산기지를 보유하고 있는데 지난 5월 베이징 1공장을 전기차 스타트업 ‘리샹’에 매각키로 했으며, 베이징 2공장도 매각설이 나오고 있다.

LG화학은 장수성 우시에 양극재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아직 별다른 지침이 내려오지 않아 생산라인을 정상적으로 가동 중이다. LG화학 관계자는 “중국 내 전력 수급 상황이 안 좋아지고 있다”며 “대응 방안 마련을 위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삼성디스플레이도 동관과 톈진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모듈 생산공장을 운영 중이다. 다만 아직 지방정부로부터 전력 사용량 조정에 대한 별다른 통보를 받지 않은 상태인 만큼 조업일수 조정 등 없이 기존 생산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업계는 중국이 전력 공급을 제한한 것은 현지 화력발전소들이 석탄 가격 급등으로 수급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특히 중국 정부가 지난해 10월부터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한 것을 이번 전력난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했다.

중국은 전력 생산의 60%를 석탄 화력에 의존하고, 화력 발전에 사용되는 석탄의 50% 이상을 호주로부터 수입해 왔다. 그런데 지난해 호주와 코로나 문제를 놓고 외교 갈등이 빚으면서 중국 정부는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한 바 있다. 이후 현재까지 마땅한 석탄 대체원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더해 최근 중국 정부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화석 연료 발전 규제에 나서며 이번 전력난을 부추겼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동절기에 접어들면 중국 전력난이 더 심각해질 가능성도 커지면서 야간 시간대를 중심으로 공장을 가동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중국 진출 기업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