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 부산 영업점 직원 A씨가 지난 12일 시재금 2억 원을 횡령한 사실이 내부 통제 시스템을 통해 드러났다. (사진=뉴시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 부산 영업점 직원 A씨가 지난 12일 시재금 2억 원을 횡령한 사실이 내부 통제 시스템을 통해 드러났다. (사진=뉴시스)

[뉴시안= 김나해 기자]우리은행에 이어 신한은행 부산지점에서도 내부 횡령 사건이 발생했다. 은행권 내부에서 횡령 사건이 연이어 터지자  금융권 내부 통제 및 안정성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일고 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 부산 영업점 직원 A씨가 지난 12일 시재금 2억 원을 횡령한 사실이 내부 통제 시스템을 통해 드러났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사태 파악 직후인 13일 오전 모든 영업점을 상대로 내부 감사를 벌여 점검을 완료했다. 현재 사고 해결을 위해 노력 중이며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해 힘쓸 예정이다”고 밝혔다.

다만 사고 금액이 10억 원 미만이라 따로 공시할 의무는 없다는 점을 내세워 신한은행은 이 같은 횡령사고에도 별도로 공지는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신한은행 이용고객들은 “우리에서 신한으로 (주거래 은행을) 갈아탔는데 기분 거지같다”, ““고객들은 30만원 한도 제한 계좌 어쩌구 하더니 은행들이 다 이따위면 돈을 어떻게 믿고 맡기냐”, “직원들이 마음만 먹으면 횡령 할 수 있고, 대형은행은 무슨 구멍가게들이 따로 없네”, “도둑들이 취업하는 곳이 은행인가보다”라는 강도 높은 비판을 계속 쏟아내고 있는 중이다.

은행권의 잇따른 횡령 사건은 고도화ㆍ전자화 되는 범죄 수법을 은행들의 주먹구구식 감시 시스템이 쫓아가지 못하고 있을뿐더러 횡령 사건의 위중함이나 횡령 금액에 비해 솜방망이식 처벌이 직원들로 하여금 경각심을 갖지 못하게 한다는 지적이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 역시 “투자의 3대 원칙이 수익성·안전성·환급성이라는 점에서 은행만큼은 고객들이 믿고 돈을 맡기는 곳인데,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긴 격처럼 은행 직원들이 고객의 돈을 마음대로 횡령한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내부통제가 부실했던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꼬집었다.

은행권 안팎으로 연이은 횡령 사건으로 인해 특단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금융 사고 재발 방지 및 예방 대책에 대한 마련책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이에 현재 국회에는 금융사의 내부통제 기준 준수를 강화하고 기준을 위반한 임원들에게 제재를 가할수 있도록 한 ‘금융사 지배 구조법 개정안’이 계류 중이다. 뿐만 아니라 윤석열 대통령이 ‘금융권 책임 경영 확산을 위한 내부 통제 제도 개선’을 국정과제로 제시한 바 있어 규제 강화가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관측이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