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안= 김은정 기자]정부가 민간과 힘을 합쳐 2030년까지 전 세계 전기차 생산 330만대와 시장 점유율 12% 달성을 추진한다. 자동차 업계는 앞으로 5년간 95조원 플러스 알파 규모의 투자에 나서고, 정부는 규제 걸림돌 해소와 세제 지원 등으로 이를 뒷받침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자동차 산업전략 원탁회의'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자동차 산업 글로벌 3강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전략은 미래차로의 신속·유연한 전환과 자동차 산업 경계를 모빌리티 신산업으로 확장해 자동차 산업 3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이 담겼다.

산업부는 '글로벌 3강'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로 ▲2030년 전 세계 전기차 330만대 생산과 세계 시장 점유율 12% 달성 ▲5년간(2022년~2026년) 자동차 업계 투자 95조원+α ▲2030년까지 미래차 전문 인력 3만명 양성을 설정했다.

아울러 민간의 역할과 정부의 정책 과제가 담긴 4대 전략으로는 ▲전동화 글로벌 탑티어(1군) 도약 ▲생태계 전반의 유연한 전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 ▲자율주행·모빌리티 신산업 창출을 제시했다.

우선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을 2021년 5% 수준에서 2030년 12%까지 높여 전동화 글로벌 탑티어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26년까지 운영체제(OS), 무선 업데이트(OTA) 등 차량용 핵심 소프트웨어를 국산화한다. 또한 미래차 인력양성 사업을 확대 개편해 2030년까지 기업 수요 중심의 소프트웨어 융합 인력을 1만명 양성한다.

또한 규제 걸림돌 해소와 세제 지원 등으로 완성차 업계의 95조원 이상 투자 계획을 밀착 지원한다. 가령 전기차 전용공장 신·증설 시, 신속 인허가 지원을 검토하는 식으로 기업의 투자를 뒷받침하겠다는 설명이다.

정부는 생태계 전반의 유연한 전환에도 나선다.

우선 내연기관차 부품기업의 사업 다각화를 위해 전주기 지원이 가능한 정책 수단을 확보한다. 부품기업 유형에 따라 '맞춤형 정책' 수단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산업부와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 부처를 비롯해 지역별·기능별 지원 기관을 망라한 '원스톱 지원체계'를 만든다.

또한 내연기관차의 친환경화 기술 개발도 지원하고, 미래차 전환 과정에서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성능 고도화도 추진한다. 공급망 위기 등 돌발 상황에 대비해 탄소중립 연료를 활용한 내연기관차 개발도 준비한다.

정부는 자동차 분야의 자국 중심주의에 대응하고, 공급망 혁신을 통한 안정성 제고에도 나선다는 방침이다.

우선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안(IRA)에 민·관이 함께 대응하며 전기차 세액공제 개편으로 인한 우리 업계 피해를 줄여나간다. 북미 최종 조립 및 배터리 요건이 우리 기업에 최대한 유리할 수 있도록 대(對) 미 협상을 이어가고, 미국 현지 차 생산을 앞당기는 등 업계 차원 대책도 모색한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