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역 승강장에서 출근길 시민들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지난달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역 승강장에서 출근길 시민들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시안=박재형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사태가 인구 유입 변동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 인구의 수도권 유입이 큰 폭으로 증가했는데 이는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고용 충격에 상대적으로 일자리가 많은 수도권으로 청년층 인구가 몰린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이 6일 발표한 ‘지역 고용 리뷰’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가 확산한 올해 3∼4월 수도권 유입 인구는 2만75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만2800명)의 2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하기 전인 올해 1∼2월에는 수도권 유입 인구(2만8200명)는 지난해 같은 기간(2만6100명)보다 8.0% 증가하는 데 머물렀다.

수도권 유입 인구는 1∼2월은 입학과 취업 등으로 큰 폭으로 늘었다가 3∼4월에는 뚝 떨어지는 패턴을 보이는데 올해는 3∼4월에도 수도권 유입세가 꺾이지 않았다.

지난 3∼4월 인구 이동 현황을 시·도별로 보면 인구 유입이 발생한 곳은 경기(4만2300명)와 세종(1000명) 2곳뿐이었다. 서울은 1만500명이 유출됐다.

연령별로는 올해 3∼4월 수도권 유입 인구 가운데 20∼24세가 1만1900명, 25∼29세가 8800명에 달했다. 20대가 수도권 유입 인구의 75.5%를 차지한 것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수도권의 인구 쏠림 현상이 심화함에 따라 '인구 소멸' 위험에 빠진 지역도 늘었다.

올해 5월 기준으로 전국 시·군·구 228곳 가운데 소멸 위험 지역은 105곳으로, 작년 동기(93곳)보다 12곳 증가했다.

소멸 위험 지역은 20∼2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고령 인구로 나눈 소멸 위험 지수가 0.5 미만인 곳으로, 저출산·고령화가 심각한 지역으로 볼 수 있다.

이번에 소멸 위험 지역에 새로 포함된 시·군·구 중에는 부산 서구, 인천 동구, 대구 서구도 포함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상호 연구위원은 “코로나19 이후 지방에서 수도권으로의 청년층 인구이동이 확대되고, 지방소멸 위험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산업과 지역에 따른 영향은 향후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날 것이므로 위기 극복을 위한 대응 체계도 산업-지역의 특성에 따라 달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