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첫 5세대(5G) 네트워크 상용화에 성공한 지 100일째를 맞은 11일 서울 시내 IT기기 체험 공간 앞을 한 외국인이 지나가고 있다. (제공=뉴시스)
서울 시내 IT기기 체험 공간 앞을 한 외국인이 지나가고 있다. (제공=뉴시스)

[뉴시안=조현선 기자]지난해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5G(5세대 이동통신)이 국가 업무망에서도 쓰인다. 정부 업무망이 인터넷 망에서 이동통신 망으로 대대적인 전환이 이뤄지게 된다.

14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올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행정안전부는 정부 부처 중 5곳의 인터넷 망을 시범 전환하는 실증사업을 진행한다. 사업 규모는 2021년까지 총 30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확산되면서 '언택트' 행정 업무 요구가 증가한 데에 따른 것이다. 전환이 완료되면 공무원들은 별도의 인터넷 랜(LAN)선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제약 없이 무선 통신을 통해 국가망에 접속할 수 있어 현장에서도 편리한 행정 업무가 가능해진다.

실증사업은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국,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국, 서울시 기획조정실 등과 같이 정부 부처나 지자체, 공공기관 국실별로 사업부서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정부는 먼저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국 1개 과에 우선 도입한 후 5G가 유선기반의 업무망에 적합한지 여부와 보안성, 통신 품질 등 기술성을 집중 검증할 방침이다. 사업자는 KT 컨소시엄으로 선정됐다. 

이동통신 기지국 신호를 정부 부처 업무 특성에 따라 '보안 에그(이동통신 신호를 와이파이 신호로 바꾸는 것)'와 연결해 정부 업무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정부는 실증사업 결과에 따라 내년중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하고 전 부처 확산을 위한 단계별 로드맵을 마련할 전망이다.

양 기관은 실증사업이 마무리되는 2021년까지 15개 기관을 추가해 실증 사업을 이어갈 방침이다. 이에 따라 2025년까지 4개 정부종합청사 및 17개 광역시·도에 5G 기반의 업무환경을 구축다는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보안성, 통신품질 검증 등 넘어야 할 산이 많겠지만 5G 국가망 전환은 행정업무환경을 획기적으로 혁신하는 것이기에 사명감을 가지고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며 “공공이 선도적으로 5G를 도입함으로써 관련 산업 활성화에도 우리부가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