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서구 화정동 현대산업개발 신축 아파트 붕괴 사고 14일째인 24일 오전 구조당국 등이 22층에서 중장비를 동원해 지장물 제거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광주 서구 화정동 현대산업개발 신축 아파트 붕괴 사고 14일째인 24일 오전 구조당국 등이 22층에서 중장비를 동원해 지장물 제거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시안= 박은정 기자]오는 27일 중대재해처벌법(중대법) 시행을 앞두고 산업계에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기업들은 중대법 시행 대상으로 낙인될 경우 자칫하면 경영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두려움에 내부적으로 안전대책 마련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최고안전책임자(CSO) 직책을 신설했다. 현대차는 이동석 부사장을, 기아는 대표이사인 최준영 부사장을 각각 CSO로 선임했다. 

이 부사장은 국내생산담당 임원으로 지난해 연말 정기 임원 인사에서 울산공장장이던 하언태 전 대표이사 사장이 퇴진한 후 국내 공장 운영을 총괄하고 있다. 최 부사장 역시 국내생산을 담당하고 있으며 2018년부터 기아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이들은 향후 각 사업장에 있는 안전관리 조직을 총괄하고 안전사고 최소화를 위한 예방책 마련에 주력한다. 현대차와 기아는 중대법 시행을 앞두고 현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인원 확충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포스코는 지난해 3월부터 김학동 부회장 직속 안전환경본부를 통해 안전관리에 노력을 다하고 있다. 지난해 가동설비 점검·수리를 금지하는 등 6대 안전긴급조치를 시행했다. 지난해 정기인사에서는 상무 보급 전체 승진 인원의 40%를 현장 인원으로 배치하기도 했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 최고경영자(CEO)와 동급 수준의 권한을 보유하는 최고안전환경책임자(CSEO) 직책을 새로 만들었다. CSEO는 국내외 사업장에 대한 안전환경 정책수립 및 점검과 관리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다. 만약 안전환경에 대한 위험을 감지할 시 생산과 작업을 중단시킬 수 있는 '생산중지 명령' 등의 권한을 갖는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1월, 향후 3년간 안전환경 부문에 5000억원 이상을 집중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당시 롯데케미칼은 '4대 중점추진대책'을 발표하며 5000억원 이상을 안전작업관리 시스템과 설비 예지정비 시스템 등 디지털 전환(DT)기반 공정과 시스템 강화에 투자한다고 전했었다.

중대법은 근로자나 시민이 다치는 등 중대재해가 발생했을 경우 대표이사(사업주나 경영책임자)급에 형사처벌을 강화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개인사업주·법인·공공기관이 운영하는 사업장에서 안전사고에 따른 사망자(1명 이상), 부상자(2명 이상), 직업성 질병자(3명 이상)가 발생했을 때 최상위 책임자에게 법적 책임을 묻는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