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개발원 조사결과 2020년 한국은 소득은 감소하고 가계부채는 크게 늘었다. 사진은 부동산 중개소에 걸려있는 아파트 매매가격. 최근 아파트값이 주춤하고 있지만 이미 서울의 아파트는 보통사람들에게 넘사벽이 된 상태이다.(사진=뉴시스)
통계개발원 조사결과 2020년 한국은 소득은 감소하고 가계부채는 크게 늘었다. 사진은 부동산 중개소에 걸려있는 아파트 매매가격. 최근 아파트값이 주춤하고 있지만 이미 서울의 아파트는 보통사람들에게 넘사벽이 된 상태이다.(사진=뉴시스)

[뉴시안= 조현선 기자] 코로나 19기 시작된 2020년 국민들의 소득은 줄고 부채는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개발원은 15일 '국민 삶의 질 2021' 보고서를 통해 2020년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513만원으로 2019년의 2528만원에 비해 15만원 줄었다고 밝혔다, GNI는 물가 상승을 감안한 구매력을 기준으로 한다. 

가구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총액의 비율인 가계부채비율은 2020년 기준 200.7%로 2019년에 비해 12.5%포인트(p) 증했다. 이는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에서 부채원리금 상환에 필요한 지출이 많아졌음을 의미한다.

한국의 가계부채비율은 2008년(138.5%) 이후 매년 3~4%포인트씩 꾸준히 늘어났다. 10%p 넘게 치솟은 사례는 2016년(12.2%p)과 2020년이 유일하다.

이는 미국(101.1%), 일본(114.1%), 프랑스(127.2%), 영국(145.0%) 등에 비해서도 월등히 높은 수치이다. 

통계개발원은 "가계부채는 주택자금이나 생활자금 등으로 사용돼 가구에 도움을 주지만 부채 규모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가계와 국가경제 모두에 부담을 준다"며 "가계부채의 증가는 가계의 원리금상환 부담을 높이고 이로 인해 가구의 재무적 위험이 증가해 정상적인 소비 지출의 제약 요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