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일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2 BOK 국제컨퍼런스'에서 개회사 및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일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2 BOK 국제컨퍼런스'에서 개회사 및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시안= 조현선 기자]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일 "코로나 위기 이후 1970년대와 같은 높은 인플레가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변화하는 중앙은행의 역할: 무엇을 할 수 있고, 해야 하는가'를 주제로 열린 BOK 국제 콘퍼런스 개회사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 중앙은행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처럼 '물가안정'이라는 기본 역할에만 집중하기 어려워질 것"이라며 "디지털 혁신이나 기후 변화 댕응은 피할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며 이를 위한 중앙은행의 역할은 커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번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진정된 뒤 한국 등 인구 고령화 문제에 직면한 일부 신흥국에서 저물가, 저성장 환경이 도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그렇게(저물가·저성장) 된다면, 폴 크루그먼 교수가 선진국 중앙은행에 조언한 것처럼 한국이나 여타 신흥국도 무책임할 정도로 확실하게 (완화적 통화정책을 지속하겠다고) 약속해야만 하는 것인지 궁금하다"고 했다.

이 총재는 "(자산매입 등) 비전통적 정책수단을 활용하면 통화가치 절하 기대로 자본유출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신흥국의 중앙은행은 통화정책 운용에 있어 더욱 신중하고 보수적으로 행동해야만 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향후 개별 신흥국이 구조적 저성장 위험에 직면해 코로나19 위기 극복 과정에서와 비슷한 수준의 확장적 정책을 홀로 다시 이어간다면 환율과 자본흐름, 인플레이션 기대에 미치는 함의는 사뭇 다를 것"이라며 "효과적 비전통적 정책수단은 무엇인지 분명한 답을 찾기 쉽지 않으며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