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5월 20일 경기 평택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을 시찰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5월 20일 경기 평택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을 시찰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시안= 이태영 기자]지난해 세계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이 중국(39조원, 6.5%)의 절반에 불과한 3.3% (20조원)로 나타나는 등 주요국 가운데 최하위 수준이다. 세계시장 내 한국의 현 위치에 대한 냉철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정된 재원의 투입 대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시스템반도체 전략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산업연구원이 4일 내놓은 ‘세계 비메모리반도체 시장 지형과 정책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반도체 시장 규모는 2022년 기준 6000억 달러(약 780조원) 가량으로, 이중 메모리 비중은 23.88%, 비메모리 비중은 76.12%로 집계됐다. 비메모리 시장 점유율에서 한국은 미국, 유럽, 대만, 일본, 중국에 이어 6위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글로벌 비메모리반도체 매출액은 약 4564억 달러(약 593조원)로, 이중 매출 합계 및 점유율에서 미국이 2486억 달러(323조원, 54.5%)로 압도적 1위이다. 2위는 유럽(539억 달러, 11.8%), 3위는 대만(470억 달러, 10.3%), 4위는 일본(421억 달러, 9.2%), 5위는 중국(299억 달러, 6.5%), 6위는 한국으로 151억 달러(20조원, 3.3%) 순이다.

[그래픽=산업연구원]
[그래픽=산업연구원]

한국은 메모리 분야인 DRAM 및 NAND 시장 점유율이 각 70%, 50%로 선도위치를 보유하고 있으나,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는 글로벌 가치사슬 구성 주요국 중 최하위에 머무르고 있다. 위탁제조(파운드리) 부문에서는 대만 TSMC에 이어 점유율 2위로, 세계 최초로 3nm GAA 공정 양산에 성공했지만 기타 공정 모두에서 TSMC와 상당한 매출 격차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한국 주요 기업의 비메모리반도체 매출액(151억 달러) 중 삼성전자가 112억 달러 (73.9%)로 1위, LX세미콘이 17억 달러(11.2%)로 2위, SK하이닉스가 8억 9000만 달러(5.9%)로 3위이다. 즉, 상위 3개 대기업 비중이 90% 이상을 차지했다.

보고서는 미국 주요 기업들의 비메모리 소자 시장 내 강점 분야로 PC 및 스마트폰의 발원(發源)을 꼽았다. CPU 및 AP 등 범용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및 GPU, FPGA 등으로 시장을 대부분 독점하고 있다는 것.

[그래픽=산업연구원]
[그래픽=산업연구원]

독일 등 유럽 국가들은 자동차 및 산업용 로봇 등 주력 수요산업향(向) 임베디드 시스템 관련 소자 즉, MCU 및 이산형과 전력제어(PMIC) 및 광학·비광학 센서류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

일본 비메모리반도체산업의 특징으로는 ‘전략형 선택과 집중’을 짚었다. 유럽과 비슷하게 자동차, 정밀 기계 등 특정 수요를 대상으로 하는 MCU, 이산형 반도체에 더해, CMOS 이미지센서와 정밀 통신소자 등 자체 및 범용 수요가 있는 분야에도 일부 경쟁우위를 보유하고 있는 점을 내세웠다.

대만의 경우 ‘시장형 선택과 집중’, 즉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투입 수요가 큰 일부 소자군에 강점을 지니고 있다.

중국은 폭넓은 제조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비메모리 소자 전반에 걸쳐 기업군을 보유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한국의 경우 중국과 마찬가지로 주요 소자분류별 매출에서 1위를 차지한 분야는 없다”며 “주요 기업 수 역시 타 국가 대비 매우 적다. 향후 국가의 시스템반도체 전략 수립과 포지션 식별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향 모색을 위한 다각적 실태 진단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산업연구원 경희권 성장동력산업연구본부 신산업실 부연구위원은 “한정된 국가 자원의 경제적·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른 낭비 예방과 비메모리산업 발전을 위한 실체적 대안 모색을 위해서는 시스템반도체산업의 복합적 다양성과 메모리와의 차별점에 대한 명확한 인식, 그리고 국내 역량의 다각적 실태 파악이 요구된다”며 “이를 바탕으로 국가적 전략 수립 및 해당 전략에 기반한 중장기 관점의 자원 배분 기능 강화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